•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1977년 축의금과 부의금은 얼마였을까?

등록 2013.05.29 14:58:41수정 2016.12.28 07:31:5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강진=뉴시스】배동민 기자 = 전남 강진군 성전면 김오동(76)씨가 29일 37년간 써 온 소중한 일기장을 안전행정부 산하 국가기록원에 기증 신청했다고 밝혔다.(사진=강진군 제공)  guggy@newsis.com

【강진=뉴시스】배동민 기자 = 전남 강진군 성전면 김오동(76)씨가 29일 37년간 써 온 소중한 일기장을 안전행정부 산하 국가기록원에 기증 신청했다고 밝혔다.(사진=강진군 제공)  [email protected]

강진군 김오동씨 37년 쓴 일기장 국가기록원에 기증 신청

【광주=뉴시스】배동민 기자 =  1977년 축의금과 부의금은 얼마 정도였을까?

 29일 전남 강진군에 따르면 강진군 성전면에 살고 있는 김오동(76)씨의 일기장에는 결혼식 2000원, 장례식에는 3000원의 부조금을 낸 것으로 기록돼 있다.

 80년대 들어서는 5000원을 냈으며, 가까운 사람이 사망했을 때 1만원을 냈다.

 1988년 들어 거의 모든 축·부의금이 1만원대로 올랐으며 1991년 들어서는 대부분 2만원으로 2배 가량 뛰었다.

 90년대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처음으로 3만원대가 나타났으며 96년 이후부터는 3만원이 보편화됐다. 2000년대 들어 종종 5만원을 낸 곳도 있지만 3만원이 대세였다.

 김씨가 지난 37년간 써 온 일기장에는 이처럼 강진의 축·부의금 변천사가 기록돼 있다. 이 밖에도 당시의 신문과 뉴스에 보도된 주요 사건, 가족의 경조사, 곡물 수매 가격 등 40여년의 세월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이 때문에 마을 사람들도 과거의 일을 확인할 때면 김씨의 일기부터 찾는다. 마을의 기억창고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강진=뉴시스】배동민 기자 = 전남 강진군 성전면 김오동(76)씨는 29일 37년간 써 온 소중한 일기장을 안전행정부 산하 국가기록원에 기증 신청했다고 밝혔다. 김씨가 자신의 일기장 중 한 권을 들어보이고 있다.(사진=강진군 제공)  guggy@newsis.com

【강진=뉴시스】배동민 기자 = 전남 강진군 성전면 김오동(76)씨는 29일 37년간 써 온 소중한 일기장을 안전행정부 산하 국가기록원에 기증 신청했다고 밝혔다. 김씨가 자신의 일기장 중 한 권을 들어보이고 있다.(사진=강진군 제공)  [email protected]

 김씨는 이 같은 기록과 세월의 흐름이 담긴 일기장을 지난 28일 안전행정부 산하 국가기록원에 기증 신청했다.

 강진군 박경석 기록연구사는 "김씨의 일기는 시골 농부의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 현대사의 변화 모습과 서민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기초 자료"라고 평가했다.

 김씨의 일기장은 국가기록원 심의를 거쳐 오는 6월 중 수집 여부가 결정된다.

 수집이 결정되면 최첨단 기록물 보존 및 복원처리시설을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학술연구와 교육, 전시 등에 활용하게 된다.

 강진군의 한 관계자는 "앞으로 개인의 기록이 사장되지 않고 국가기록유산으로 영구히 보존될 수 있도록 국가기록원과 협의하는 등 민간 기록물 수집 업무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국가기록원에 수집된 민간기록은 총16만8993점이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