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작년 영업익 4% 증가한 1.8조…"올해 AI 수익화 본격 추진"
작년 매출 1.9% 증가한 17.9조…4분기 영업익은 14.4% 줄어
지난해 AI 관련 매출 19% 증가…에이닷 누적 가입자 800만명
![[서울=뉴시스] SK텔레콤 을지로 사옥. (사진=SK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4/12/16/NISI20241216_0001729984_web.jpg?rnd=20241216171416)
[서울=뉴시스] SK텔레콤 을지로 사옥. (사진=SK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SK텔레콤은 유·무선통신과 AI(인공지능) 전 사업 영역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17조9406억원, 영업이익 1조8234억원을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각각 전년 대비 1.9%, 4% 증가한 수치다. 연결 순이익은 사피온 합병 관련 평가이익이 반영되며 전년 대비 25.6% 증가한 1조4388억원을 기록했다.
4분기를 기준으로 보면 매출 4조5115억원, 영업이익 2541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35%, 14.4% 감소했다.
SK브로드밴드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3.1%, 13.7% 증가한 4조4111억원, 3517억원을 기록했다. 유료방송 가입자 증가와 B2B 사업의 증가가 주효했다.
SK텔레콤은 AI 기술·서비스 경쟁력을 바탕으로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에 나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한 AI 사업의 본격 수익화를 실현해 올해부터 '돈버는 AI'를 본격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또 본원적 경쟁력 강화(O/I)를 지속해 단기 수익성과 장기 성장성을 함께 고려한 체질 개선을 지속 추진해갈 예정이다.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의 2024년 연간, 4분기 연결 손익계산서. (사진=SK텔레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SK텔레콤은 AI 데이터센터(AI DC), GPU 클라우드 서비스(GPUaaS), 에지AI(Edge AI) 등 세가지 축을 중심으로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을 가속화하고 있다.
AI DC사업 본격 추진을 위해 SK텔레콤은 글로벌 GPU 클라우드 기업 '람다'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고, AI 데이터센터 통합 솔루션 대표 기업인 '펭귄 솔루션스'와는 AI 투자 중 최대 규모인 2억 달러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이러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SK텔레콤은 지난 12월 람다와 함께 협력해 가산 AI데이터센터를 오픈하고, 이어 'SKT GPUaaS'를 선보이는 등 AI 인프라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펭귄 솔루션스와는 AI DC 글로벌 확장, 공동 R&D 및 상용화, 차세대 메모리 어플라이언스 개발 등 협력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텔코 에지 AI는 차세대 인프라 구조 진화를 위한 핵심 기술로, SK텔레콤이 관련 기술 표준화를 주도하고 있다.
![[서울=뉴시스]SK텔레콤의 대표적 AI 서비스인 에이닷 통화요약 이용 모습. (사진=SK텔레콤 제공)](https://img1.newsis.com/2024/05/08/NISI20240508_0001544595_web.jpg?rnd=20240508084726)
[서울=뉴시스]SK텔레콤의 대표적 AI 서비스인 에이닷 통화요약 이용 모습. (사진=SK텔레콤 제공)
사업부를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 SK텔레콤의 AI 관련 매출은 전년 대비 19% 성장했다.
AIX 사업 매출은 AI클라우드 사업 확대 및 AICC(AI콘택트센터), AI 비전 등 핵심 AI B2B 상품 성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32%의 높은 성장을 기록했다.
AI DC 매출은 가산 DC 등 신규 데이터센터 가동률 상승 등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며 전년 대비 13.1% 상승한 3974억의 매출을 기록했다.
SK텔레콤 AI 사업의 또다른 한 축인 PAA(퍼스널 AI 에이전트) 영역은 국내 향 '에이닷(A.)'과 글로벌 향 '에스터(A*)' 투 트랙 전략을 활발히 추진 중이다.
에이닷은 지난해 멀티 LLM 에이전트 기능과 PC 버전을 새롭게 선보이고, T전화에 AI 전화 기능을 강화한 '에이닷 전화'를 출시하는 등 대규모 서비스 개편을 통해 전화부터 LLM 검색까지 AI 개인서비스 영역을 빠르게 넓혀가고 있다. 이를 통해 에이닷 누적 가입자 수는 지난해 말 기준 전년 대비 160% 성장한 800만명을 돌파했다.
지난해 SK AI 서밋에서 최초 공개한 글로벌 개인 AI 에이전트 서비스 에스터는 올해 CES 2025에서 완결적 일상 관리의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며 상반기 중 미국 베타 서비스 개시에 나설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앤트로픽, 퍼플렉시티 등 해외 주요 LLM업체들과도 협력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통신 특화 LLM은 SKT의 고객 센터와 T월드 등 고객 서비스에 적용되어 운영 중이다.
김양섭 CFO는 "지난해는 SK텔레콤이 통신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AI 컴퍼니로의 도약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 한 해였다"며 "올해는 도전과 혁신으로 AI 시대를 개척해, 기업가치를 보다 견고히 하는 한 해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2024년 4분기 배당금은 주당 1050원으로 이사회에서 의결됐다. 기 지급된 주당 2490원을 포함해 연간 주당 배당금은 3540원으로, 3월 정기주주총회 승인을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