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라리스AI파마, 비네이처바이오랩과 맞손
HME 기술 상업화로 글로벌 원료의약품 기업 도약

김영관 폴라리스AI파마 대표, 백종섭 비네이처바이오랩 대표. (사진=폴라리스AI파마)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김경택 기자 = 폴라리스AI파마와 비네이처바이오랩은 고온 용융 압출-장기 지속형 약물 전달 시스템(HME-DDS) 기술을 활용한 원료의약품 연구개발과 생산을 위해 협력한다고 14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번 협력은 폴라리스AI파마의 연구개발 기술력과 GMP(의약품 제조 품질 관리 기준) 제조 상업화 경험과 비네이처바이오랩의 보유한 HME와 관련된 연구개발 기술력과 설비를 결합해 원료의약품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지적재산권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비네이처바이오랩은 지난 2020년 설립된 천연물 기반 바이오 기술 전문기업이다. HME-DDS 핵심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의 일환인 딥테크 팁스에 선정돼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HME-DDS 기술은 물에 녹지 않는 난용성 약물의 용해성을 높이고 약물을 안정적으로 전달해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기존의 투여 방법에 비해 최대 50배의 흡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김영관 폴라리스AI파마 대표는 "이번 협약으로 HME기술을 상업화해 수익성 높은 개량신약과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으로 확대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며 "그룹차원에서 인공지능(AI)을 결합한 발빠른 원료의약품 연구개발도 추진해 기존 사업의 수익성 극대화를 통한 기업가치 제고를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