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민희·이진숙, 대정부질문서 계엄 보도지침·극좌 발언 충돌
최 "'내란 확정 보도 말라' 보도지침" 이 "언론 선배로서 얘기"
이, 최 향해 '극좌' 저격…최, "어디다 극좌 붙이냐"
이 "민주, 카톡 검열 없다고 선언하면 국민 신뢰할 것"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2회 국회(임시회) 제6차 본회의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02.14. kch0523@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2/14/NISI20250214_0020700650_web.jpg?rnd=20250214161027)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2회 국회(임시회) 제6차 본회의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02.1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재우 기자 =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을 맡고 있는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14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신경전을 벌였다.
최 의원은 이 위원장이 지난달 23일 방통위 기자실을 찾아 '내란이 확정된 것처럼 보도하지 말라'는 취지로 발언한 것을 두고 보도지침이자 갑질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이 위원장은 언론계 선배로서 얘기한 것이라고 응수했다.
최 의원은 "지난 1월23일 방통위에 출근해 기자실에서 가서 뭐라고 했냐"고 물었다. 이 위원장은 "내란이라는 것이 아직까지 법적 절차를 거치고 있기 때문에 12·3 계엄이라고 표현해야 정확하지 12·3내란이란 표현은 정확하지 않다고 언론선배로서 얘기했다"고 답변했다.
최 의원은 이 위원장의 답변에 "보도 기능을 가진 방송사 재허가권을 가진 곳이 방통위다. 그런데 그런 얘기를 하면 어떻게 선배가 한 말로 들리냐. 그정도도 분간이 안되냐"고 지적했다.
이 위원장은 "그 정도 분간을 충분히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일부에서 '보도지침이다. 가이드라인이다'는 식으로 표현하는데 21세기 대한민국에 보도지침이라는 것은 얼토당토 않고 현명한 기자들이 가이드라인이라고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최 의원은 "본인은 보도지침을 내리고 갑질한 것인데 요즘은 기자들이 현명하게 그걸 그냥 걷어찬 것이다. 이게 실상"이라고 말했다.
그는 재차 "서부지법 폭동사태를 폭동이라고 쓰면 안 되냐. 그건 괜찮냐"고 물었다. 이 의원이 '제가 괜찮다고 평가할 위치에 있지 않다'고 답변하자 "마찬가지도 내란에 대해서 내란이다 (아니다고) 평가할 위치에 있지 않다"고 했다.
이 위원장은 'MBC에서 극우라는 표현이 계속 나온다. 극우가 여기에서 왜 나오냐'는 질문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최 의원을 극좌에 비유하기도 했다.
그는 "국민의 상당수를 극우세력으로 몰아가는 시도라고 생각을 하고 있다. 굉장히 위험한 발상이라고 생각한다"며 "만약 그렇다면 비이재명계들이 움직인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서 '움직이면 지지자들 모아서 다 죽여 버리겠다'고 얘기한 최민희 의원이 바로 극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러나 저는 한 번도 최 의원에 대해서 극좌라는 표현을 쓴 적이 없다. 제 개인적으로 적어도 제 기억이 맞다면 극좌라는 표현은 쓰지 않는다"고 했다.
최 의원은 대정부질의 산회 전 신상발언에 나서 "국무위원이 특정 의원의 질의 과정에서 특정 의원을 콕 집어서 비난하고 시빗거리로 삼는 걸 처음 봤다"며 "극우, 극좌를 함부로 쓰지 말라. 극우 파시즘, 나치즘 때문에 8000만 내지 9000만명이 죽었다. 스탈린 체제, 중국의 문화대혁명, 그게 극좌다. 어디다 제 이름 뒤에 극좌를 붙이냐"고 말했다.
한편, 이 위원장은 최수진 의원의 민주당 카카오톡 검열 논란 관련질의에 "국민이 많이 사용하는 카카오톡, 개인과 개인 간 소통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SNS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위축감을 가지게 된다면 민주주의의 큰 기둥 하나를 무너뜨리는 것"이라며 "만약에 민주당에서 그런 생각이 없다면, 확실하게 '카카오톡 검열이라는 것은 없다'고 선언해주면 국민이 조금 더 신뢰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