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무형문화재 제71호 제주칠머리당굿 영등송별제 봉행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13일 오전 제주시 건입동 사라봉 칠머리당 실내 공연장에서 국가무형문화재 제71호이자 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인 영등송별제가 봉행되고 있다. 칠머리당 영등송별제는 해마다 '영등달'인 음력 2월 초하룻날 제주에 찾아왔다가 열나흗날 떠나는 '영등할망'을 보내는 제주 전통 무속 제례다. 2025.03.13. woo1223@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3/13/NISI20250313_0020730427_web.jpg?rnd=20250313105002)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13일 오전 제주시 건입동 사라봉 칠머리당 실내 공연장에서 국가무형문화재 제71호이자 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인 영등송별제가 봉행되고 있다. 칠머리당 영등송별제는 해마다 '영등달'인 음력 2월 초하룻날 제주에 찾아왔다가 열나흗날 떠나는 '영등할망'을 보내는 제주 전통 무속 제례다. 2025.03.13. [email protected]
칠머리당 영등굿은 음력 2월이면 제주도를 찾아오는 영등할망을 맞이하고 떠나보내는 전통 무속 제례 의식이다.
영등신은 외눈백이섬 또는 강남천자국에서 2월1일 제주도에 들어와 어업에 풍요를 주고, 특히 바닷가를 돌아가며 해녀 채취물의 씨를 뿌려주어 풍요를 준 뒤 2월15일 본국으로 돌아간다는 내방신(來訪神)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해녀 굿인 이 굿은 제주도 해녀 신앙과 민속신앙이 반영된 제례로 전해진다.
제주칠머리당영등굿은 제주 특유의 해녀신앙과 민속신앙을 전승하는 우리나라 유일의 해녀 굿으로 특이성과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9년 9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13일 오전 제주시 건입동 사라봉 칠머리당 실내 공연장에서 국가무형문화재 제71호이자 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인 영등송별제가 봉행되고 있다. 칠머리당 영등송별제는 해마다 '영등달'인 음력 2월 초하룻날 제주에 찾아왔다가 열나흗날 떠나는 '영등할망'을 보내는 제주 전통 무속 제례다. 2025.03.13. woo1223@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3/13/NISI20250313_0020730432_web.jpg?rnd=20250313105002)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13일 오전 제주시 건입동 사라봉 칠머리당 실내 공연장에서 국가무형문화재 제71호이자 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인 영등송별제가 봉행되고 있다. 칠머리당 영등송별제는 해마다 '영등달'인 음력 2월 초하룻날 제주에 찾아왔다가 열나흗날 떠나는 '영등할망'을 보내는 제주 전통 무속 제례다. 2025.03.13. [email protected]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13일 오전 제주시 건입동 사라봉 칠머리당 실내 공연장에서 국가무형문화재 제71호이자 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인 영등송별제가 봉행되고 있다. 칠머리당 영등송별제는 해마다 '영등달'인 음력 2월 초하룻날 제주에 찾아왔다가 열나흗날 떠나는 '영등할망'을 보내는 제주 전통 무속 제례다. 2025.03.13. woo1223@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3/13/NISI20250313_0020730428_web.jpg?rnd=20250313105002)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13일 오전 제주시 건입동 사라봉 칠머리당 실내 공연장에서 국가무형문화재 제71호이자 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인 영등송별제가 봉행되고 있다. 칠머리당 영등송별제는 해마다 '영등달'인 음력 2월 초하룻날 제주에 찾아왔다가 열나흗날 떠나는 '영등할망'을 보내는 제주 전통 무속 제례다. 2025.03.13. [email protected]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13일 오전 제주시 건입동 사라봉 칠머리당 실내 공연장에서 국가무형문화재 제71호이자 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인 영등송별제가 봉행되고 있다. 칠머리당 영등송별제는 해마다 '영등달'인 음력 2월 초하룻날 제주에 찾아왔다가 열나흗날 떠나는 '영등할망'을 보내는 제주 전통 무속 제례다. 2025.03.13. woo1223@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3/13/NISI20250313_0020730433_web.jpg?rnd=20250313105002)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13일 오전 제주시 건입동 사라봉 칠머리당 실내 공연장에서 국가무형문화재 제71호이자 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인 영등송별제가 봉행되고 있다. 칠머리당 영등송별제는 해마다 '영등달'인 음력 2월 초하룻날 제주에 찾아왔다가 열나흗날 떠나는 '영등할망'을 보내는 제주 전통 무속 제례다. 2025.03.13. [email protected]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13일 오전 제주시 건입동 사라봉 칠머리당 실내 공연장에서 국가무형문화재 제71호이자 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인 영등송별제가 봉행되고 있다. 칠머리당 영등송별제는 해마다 '영등달'인 음력 2월 초하룻날 제주에 찾아왔다가 열나흗날 떠나는 '영등할망'을 보내는 제주 전통 무속 제례다. 2025.03.13. woo1223@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3/13/NISI20250313_0020730426_web.jpg?rnd=20250313105002)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13일 오전 제주시 건입동 사라봉 칠머리당 실내 공연장에서 국가무형문화재 제71호이자 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인 영등송별제가 봉행되고 있다. 칠머리당 영등송별제는 해마다 '영등달'인 음력 2월 초하룻날 제주에 찾아왔다가 열나흗날 떠나는 '영등할망'을 보내는 제주 전통 무속 제례다. 2025.03.13. [email protected]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