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AI가 112 신고접수 돕는다"…정부, 공공분야 AI 확산 신규과제 선정

등록 2025.03.18 12:00:00수정 2025.03.18 15:36:2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올해 부처협업 기반 AI 확산 사업 신규과제 10개 선정

한 달 간 공모 거쳐 수행기업 선정…18억원 지원 예정

[그래픽=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부 부처와 협업을 통해 공공분야에 AI를 접목하는 '부처협업 기반 AI 확산 사업'의 2025년 10개 신규과제를 선정하고, 이를 본격 착수하기 위해 과제별 수행기관을 공모한다고 18일 밝혔다. 재판매 및 DB금지.

[그래픽=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부 부처와 협업을 통해 공공분야에 AI를 접목하는 '부처협업 기반 AI 확산 사업'의 2025년 10개 신규과제를 선정하고, 이를 본격 착수하기 위해 과제별 수행기관을 공모한다고 18일 밝혔다. 재판매 및 DB금지.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인공지능(AI)이 112 신고접수를 지원하고 전자상거래 안전관리를 담당하는 등 정부가 공공 분야 AI 확산을 위한 새로운 사업을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부 부처와 협업을 통해 공공분야에 AI를 접목하는 '부처협업 기반 AI 확산 사업'의 2025년 10개 신규과제를 선정하고, 이를 본격 착수하기 위해 과제별 수행기관을 공모한다고 18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사회·경제 전반의 AI 전환(AX)을 위해 관계부처와 함께 공공부문에 적용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개발·실증하는 부처협업 기반 AI 확산 사업을 2022년부터 추진 해왔다. 이 사업은 AI를 통해 공공 업무를 효율화하고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부처협업 기반 AI 확산 사업은 일차적으로 각 부처를 대상으로 공공 AI 활용 과제를 공모하고, 이 가운데 혁신성과 국민 체감 효과 등이 높은 과제를 선정한다. 선정된 과제는 소관 부처와 전문기관(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협업을 통해 구체화 되고, 수행기업 공모·선정을 거쳐 본격 착수하게 된다.

소관 부처는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공공 데이터와 실증 환경을 제공하고, 기업은 AI 서비스 개발을 맡는다. 이후 현장 실증을 거쳐 개발된 서비스의 공공분야의 도입·적용을 추진한다.

2022년부터 해당 사업을 통해 총 17개의 과제가 진행됐고 일부 과제는 시범 적용을 거쳐 현장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AI를 활용해 소나무재선충을 자동으로 판독·분석하는 '산림해충 방제지원 서비스'는 지난해 남부지방산림청 시범 적용을 시작으로 소관 부처와의 협의를 거쳐 타 현장에도 도입될 수 있도록 추진할 예정이다.

동영상 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훈련방식을 제공하는 '국가대표 AI 코칭 솔루션'은 2024년 파리 패럴림픽 배드민턴 종목에 시범 적용돼 경기영상 분석 시간을 4배 이상 단축(8시간→2시간)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 기술은 소관 부처와 협의해 향후 장애인 국가대표 경기 전반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2025년 신규 과제 공모에 26개 기관으로부터 71개 과제가 접수됐고, 전문가 평가를 거쳐 10개 과제를 최종 선정했다. 해당 과제들은 약 30일 간의 공모를 거쳐 수행기업을 선정할 예정이다. 선정된 기업은 AI 서비스 개발부터 현장 실증까지 연간 9억원의 규모로 2년 동안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에 선정된 10개 과제는 공공혁신 부문 5개, 국민체감 부문 5개로 나뉜다. 공공혁신 부문의 경우 ▲관세청의 AI 기반 전자상거래 안전관리 솔루션 개발 및 실증 ▲경찰청의 112 신고접수 지원 AI 플랫폼 및 출동지원 시스템 개발 ▲환경부의 화학 공정 위험성 예측·진단 AI 솔루션 개발 및 실증 ▲인사혁신처의 인사업무 AI 어시스턴스 서비스 개발 및 실증 ▲해양경찰청의 VLM(비전언어모델) 기반 연안해역 영상 분석 AI 솔루션 개발 및 실증이 선정됐다.

국민체감 부문에서는 ▲여성가족부의 스마트 아이(ai)돌봄 지원 AI 통합솔루션 개발 및 실증 ▲공정거래위원회의 공정 하도급계약 지원 AI 플랫폼 개발 및 실증 ▲행정안전부의 AI 기반 지능형 기록정보 검색 솔루션 개발 및 실증 ▲국방부의 AI 기반 군인연금 민원 대응 및 상담 솔루션 개발 및 실증 ▲농촌진흥청의 멀티모달 AI 기반 ‘들녘단위(대단지)’ 노지 정밀 농업솔루션 개발 및 실증이 뽑혔다.

김경만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AI가 국가 전반을 혁신하는 AI 대전환 시대에 접어든 지금, 공공부문의 선도적인 AI 활용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과기정통부는 앞으로도 관계 부처와 긴밀히 협력하여 혁신적인 공공 서비스를 발굴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