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6명이 꼽은 민생 최우선 과제는? '물가 안정'
한경협, 국민 1000명 대상 설문조사
53.5%, '고물가·생활비 증가' 부담 지적

[서울=뉴시스]이현주 기자 = 현재 국민들이 느끼고 있는 가장 큰 경제적 어려움은 '물가'이고,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최우선 대책도 '물가 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민생경제 안정을 위한 대책' 설문조사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0일 밝혔다.
민생경제의 가장 큰 어려움을 묻는 질문에서 국민 과반(53.5%)은 '고물가 및 생활비 부담 증가'를 꼽았다. 다음으로 '일자리 문제 및 고용불안'(11.3%), '주거비 상승 및 전·월세 부담 증가'(10.0%), '경기 둔화 및 내수 위축'(7.2%), '소득 정체 및 실질임금 감소'(6.8%) 등을 지적했다.
최근 들어 소비자물가가 2% 초반의 안정세를 유지하고는 있으나, 누적 기준으로 보면 고물가가 장기화되고 있어 국민들이 체감하는 물가 수준은 여전히 높다는 지적이다.
실제 소비자물가지수가 개편된 2020년(지수=100)을 4년여 전후한 기간을 비교해보면, 직전 4년인 2016년(95.78)에서 2020년(100)까지 물가상승률은 4.4%였으나, 2020년(100)부터 2025년 4월(116.38)까지는 16.4% 상승했다.
국민들이 가장 바라고 있는 민생회복 과제도 '물가 안정'(60.9%)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양질의 일자리 창출'(17.6%), '주거 안정'(9.5%), '지역경제 활성화'(7.8%), '취약계층 지원 강화'(3.8%) 등의 순이었다.
조사 결과를 연령대별로 보면 '물가 안정'은 20대 이하 57.2%, 30대 56.3%, 40대 63.5%, 50대 64.9%, 60대 이상 60.7% 등 모든 연령대가 민생회복 1순위 과제로 꼽았다.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추진할 정책에 대해서는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35.9%)이 가장 많이 지적됐다. 이어 '공공요금(전기·가스·수도) 부담 경감'(21.8%), '환율 변동성 완화·수입 물가 안정'(17.2%), '세금 부담 완화·생활비 지원 강화'(17.1%), '에너지·원자재 가격 안정'(7.8%) 등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청년·여성·고령층 맞춤형 고용지원 강화', '주택공급 확대·부동산 시장 안정', '교통·물류망 등 인프라 개선', '내수 활성화·판로 지원' 등이 국민들이 바라는 민생회복 정책으로 꼽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