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전에서 예술로'…주화산업, 패러다임이 바뀐다
2025 세계화폐박람회(WMF)서 확인한 글로벌 트렌드
동전 중심 유통주화서 기념주화, 예술형 주화로 변화
![[대전=뉴시스]결제수단의 빠른 디지털화로 동전 사용량이 줄어들면서 글로벌 주요국의 주화산업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예술형주화가 국가를 상징하고 있다. (사진=조폐공사 제공). 2025. 02. 1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2/12/NISI20250212_0001768789_web.jpg?rnd=20250212164856)
[대전=뉴시스]결제수단의 빠른 디지털화로 동전 사용량이 줄어들면서 글로벌 주요국의 주화산업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예술형주화가 국가를 상징하고 있다. (사진=조폐공사 제공). 2025. 02. 12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곽상훈 기자 = 한국조폐공사는 최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2025 세계화폐박람회(World Money Fair 2025)에 참석해 세계 각국의 주화산업의 최신 트렌드를 확인했다고 12일 밝혔다.
1974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는 세계화폐박람회(World Money Fair , WMF)는 중앙은행과 조폐기관을 비롯한 귀금속 정·제련, 기계 설비, 금융 및 유통사 등 전 세계 50개국, 300여개 업체들이 참여하는 글로벌 최대 규모의 화폐 문화산업 박람회다.
결제수단의 빠른 디지털화로 동전 사용량이 줄어들면서 글로벌 주요국의 주화산업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세계화폐박람회에서도 우리가 평소 알고 있던 100원 동전과 같은 유통주화가 아니라 다양한 주제의 기념주화나 예술형 주화 등 비유통목적의 아름다운 주화가 주를 이룬다.
주요 조폐국의 전시부스는 전 세계에서 방문한 1만 5000여명의 관람객으로 붐볐다. 특히 캐나다 조폐국에서는 단 299장만 한정 발행하는 10kg 초대형 메이플 예술형 은화를 최초 공개해 기념촬영을 하려는 인파로 인해 연일 장사진을 이뤘다.
호주 조폐국에서는 인기 애니메이션 '스폰지 밥' 방영 25주년을 기념하는 기념주화를 선보이며 어린이들의 관심을 집중시켰고, 뱀의 해(乙巳年)를 기념하는 각국의 독창적인 뱀 디자인 기념주화도 눈길을 끌었다.
세계 주요국들은 일회성 국가 행사에만 주제를 국한하지 않고 영화, 신화, 전통 등 다양한 시리즈로 기념주화를 발행하고 있고, 더 나아가 일반적인 원형이 아닌 다각형이나 보석을 삽입하는 등 다양한 기술을 적용해 소비자들의 수집욕구를 더욱 자극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다양한 기념주화를 통해 국가 행사나 이슈를 널리 알리려고 노력하고 있다. 지난해 말 발행된 '한국의 주력산업과 경제발전' 기념주화를 소개받은 주요 조폐국은 그 실물을 보며, 한국의 압인기술과 디자인 표현 능력을 높게 평가했다.
한편 미국의 이글, 중국의 판다, 캐나다의 메이플 등 주요국은 기념주화를 넘어 예술형 주화도 활발하게 발행하고 있다.
금·은 등 귀금속에 국가의 대표 상징물을 새겨 매년 지속적으로 발행하는 예술형 주화는 국가의 상징성을 담은 예술품이자 안전한 자산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