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3200명 자금 묶인 '고파이'…고팍스 재계약으로 숨통 트일까

등록 2024.08.13 18:21:36수정 2024.08.13 21:30: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메가존, 전북은행 꾸준히 설득…투자확약서도 작성

고파이 정상화 다양한 방법 거론…실행 여부 지켜봐야

사진=고팍스 *재판매 및 DB 금지

사진=고팍스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지영 기자 =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고팍스가 최근 전북은행과 실명계좌 재계약을 확정한 가운데 고파이 예치금 반환 향방에 관심이 쏠린다. 이번 재계약에 따라 원화거래소 자격을 이어갈 가능성이 커진 만큼 '청신호'가 켜졌다는 진단이 나온다.

고파이는 고팍스의 자체 예치 서비스다. 지난 2022년 11월 협력사인 제네시스 글로벌 캐피탈(LLC)의 인출 중단으로 인해 원리금 지급을 중단했었다. 현재까지 예치금을 돌려받지 못한 이용자는 3200여명으로 추산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고팍스는 최근 전북은행과 실명인증계좌 재계약을 체결했다.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상 가상자산 거래소는 시중은행으로부터 실명계좌를 받아야 원화마켓을 운영할 수 있다. 즉 고팍스는 이번 체결로 원화거래소 자격을 유지할 가능성을 높였다.

이번 재계약을 이끈 것은 국내 소프트웨어 개발·공급 업체 메가존의 의지로 알려졌다. 메가존은 현재 고팍스 최대 주주인 바이낸스와 지분 매각을 논의 중인 곳이다. 메가존이 투자확약서(LOC)를 작성하는 등 고팍스 인수에 대한 강한 의사를 표명하며 전북은행을 꾸준히 설득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 전언이다.

재계약 사실 여부를 비롯해 이같은 과정은 고파이 예치금 반환의 긍정적 신호로 평가받는다. 재계약 다음 관문인 가상자산사업자(VASP) 갱신 신고 단계에서 메가존이 지분 매각에 속도를 낼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현재로서 메가존이 고팍스를 인수한 뒤 고파이 미지급금 반환을 위한 자금을 투입하는 시나리오가 가장 유력한 방안으로 거론된다.

업계에서는 VASP 갱신 신고 접수 이후 심의가 끝나는 연말 전까지는 메가존이 지분 매각을 완료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메가존은 금융당국 요구에 따라 바이낸스가 보유 중인 지분 67.45% 중 58% 이상을 인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금융당국은 '외국계 주주 지분율 10% 미만'을 고팍스 측에 요구한 바 있다. 여기서 외국계 주주란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인 바이낸스를 의미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전북은행 입장에서는 메가존이 제출한 확약서를 전향적으로 받아들인 것"이라며 "메가존의 강한 의지를 바탕으로 체결된 재계약이라는 점에서 이후 지분 매각 과정도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메가존이 벌어준 시간 동안 고팍스가 자체적으로 수혈하는 방법도 거론되지만 현실성은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숨통이 트인 고팍스 상황을 보고 새로운 주체가 투자를 유치하는 그림도 있다. 원화 거래가 가능한 가상자산 거래소가 국내에 5개로 제한된 점은 여전히 매력적인 요소다.

국내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전북은행과 재계약으로 시간적 여유가 생긴 점은 고파이 자금 반환에 긍정적일 수밖에 없다"며 "그동안 시한부처럼 쫓기던 상황에서 벗어나 자금을 마련할 다양한 경우의 수를 찾은 것"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고팍스와 전북은행 간 재계약 연장 기간이 9개월인 점은 변수로 꼽힌다. 기존보다 비교적 짧아 지분 구조 리스크를 완전히 해소하지 못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통상 가상자산 거래소와 시중은행 간 실명계좌 계약 기간은 1년씩 연장한다.

고팍스 관계자는 "실명계좌 재계약은 VASP 갱신 신고와 투자 유치 등 여러 가지 면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고팍스는 지난해 고파이 미지급금 총액 중 절반가량을 이용자에게 돌려줬다. 하지만 이후 가상자산 시세가 계속 오르면서 원화 환산액이 늘어나고 있는 상태다. 현재 추정되는 미지급금은 560억원가량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