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 지난해 순이익 4.5조…신한은행 3.7조 '리딩뱅크'(종합)
그룹 순이익 4조5175억으로 3.4%↑…증권 사옥 매각 2022년 이어 역대 2번째
신한은행, 순이익 3조6954억으로 20.5%↑…사상 최대 실적으로 리딩뱅크 올라
신한지주, 올해 6500억 자사주 취득·소각…총주주환원 규모 1.75조+α 제시

[서울=뉴시스] 이정필 기자 = 신한금융그룹이 지난해 4조5000억원 규모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 앞서 2022년 기록한 4조6000억원대 순이익에 이은 역대 2번째 실적이다. 핵심 계열사인 신한은행은 사상 최고 성과를 거두며 '리딩뱅크' 자리에 올랐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연간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3.4% 증가한 4조5175억원으로 집계됐다고 6일 밝혔다. 지난 2022년 신한투자증권 사옥 매각 영향이 반영된 연간 순이익 4조6423억원에 이은 두 번째 실적이다.
신한금융에 따르면 지난해 이자이익은 11조4023억원으로 전년 대비 5.4% 증가했다. 누적 그룹 순이자마진(NIM)이 1.93%로 전년 대비 4bp(1bp=0.01%포인트) 하락했지만, 금리부자산이 전년 말 대비 7.3% 증가한 영향이다.
비이자이익은 3조2575억원으로 전년 대비 5.0% 감소했다. 4분기 비이자이익은 자본시장 변동성 확대 영향으로 유가증권과 외환·파생 관련 손익 등이 줄면서 전 분기 대비 74.0% 급감했다.
그룹의 연간 글로벌 손익은 7589억원으로 전년 대비 38.1% 증가했다. 신한베트남은행과 일본 SBJ은행의 당기순이익은 각각 2640억원(13.4% 증가), 1486억원(17.0% 증가)으로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연간 판매관리비는 6조1162억원으로 전년 대비 3.7% 늘었다. 4분기 판매관리비는 희망퇴직 비용 영향 등으로 전 분기 대비 19.7% 증가했다. 연간 그룹 영업이익경비율(CIR)은 41.7%로 안정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연간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1조9936억원으로 전년 대비 11.4% 감소했다. 부동산 관련 보수적인 대손충당금 인식에도 전년도 기저효과로 줄었다.
그룹 대손비용률은 0.47%로 전년 대비 10bp 개선됐다. 4분기 대손비용은 6029억원으로 부동산 관련 추가 충당금 영향 등으로 전 분기 대비 49.6% 증가했다.
연간 영업외손실은 4262억원으로 집계됐다. ▲1분기 중 신한은행의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관련 충당부채 적립 2740억원 ▲2분기 중 홍콩H지수 회복에 따른 ELS 관련 충당부채 환입 913억원 ▲3분기 중 신한투자증권 지분법 평가손실 306억원 ▲4분기 중 기부금 454억원 등의 영향이다.
지난해 말 잠정 그룹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5.76%, 보통주 자본비율(CET1비율)은 13.03%로 나타났다. 적정 위험가중자산(RWA) 관리를 통해 안정적 수준의 자본비율을 유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주요 계열사를 보면 신한은행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3조6954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20.5% 증가한 역대 최대 실적이다. 하나은행(3조3564억원)과 KB국민은행(3조2518억원) 등 경쟁사들을 훌쩍 넘어 리딩뱅크 자리에 올랐다.
신한카드의 연간 순이익은 5721억원으로 전년 대비 7.8% 줄었다. 신한라이프 순이익은 5284억원으로 11.9% 늘었다.
신한투자증권 순이익은 2458억원으로 143.6% 증가했다. 신한캐피탈 순이익은 1169억원으로 61.5% 감소했다.
신한지주 이사회는 이날 4분기 주당 배당금 540원과 5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소각을 결의했다. 올해 1월 중 취득 완료한 1500억원의 자사주를 포함해 2월 현재까지 총 6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소각을 결정했다. 총주주환원 규모는 1조1000억원 배당을 포함해 총 1조7500억원 이상을 제시했다.
천상영 신한금융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내부적으로 작년 한 해를 돌아보면 비은행 부문의 실적이 부진했던 게 아쉬운 부분"이라며 "자산신탁이나 증권, 캐피탈 등 대부분의 손익이 감소한 요인이 (부동산 관련 등)충당금 영역"이라고 설명했다.
천 부사장은 "지난해와 같은 거액의 손실 요인이 이제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고만 하더라도 거기서 발생하는 기저 효과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내부적으로는 분기별 경상 체력이 최소한 1조4000억원에서 1조5000억원은 충분히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런 부분을 감안하면 올해 손익은 전년도에 비해서 큰 폭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주주환원 정책에 대해서는 "자사주(소각)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매년 1조원이라는 타겟팅을 갖고 있긴 하지만 주가 등 여러 가지 시장 상황에 따라 조금씩은 달리 갈 수 있다"며 "반기 단위로 자사주에 대한 소각 규모를 발표할 텐데, (올해)상반기 실적 발표 때는 하반기와 내년 1~2월까지 포함해서 발표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