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당국, 2금융권 가계대출 관리 강화…연간계획 받고 일일점검

등록 2025.02.09 09:00:00수정 2025.02.09 10:44: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사진은 7일 오후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2025.02.07. kmn@newsis.com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사진은 7일 오후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2025.02.0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최홍 기자 = 금융당국이 올해 제2금융권 가계대출 관리 방향과 관련해,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고강도 관리 기조를 유지할 방침이다.

서민금융 공급이라는 취지를 벗어나지 않도록 집단대출 등은 억제하되, 지방 또는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에 대해선 여력을 주기로 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과 함께 올해 가계대출 연간계획을 마련했다. 세부적인 공급 계획은 향후 계속 조율하기로 했다.

현재 금감원은 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세를 일별로 점검 중이다.

특히 상반기에 가계대출 증가세가 폭증할 수 있는 만큼 시장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손실에 따라 2금융권의 운신의 폭이 줄고, 금융사들이 주담대를 중심으로 자산을 무리하게 확대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무엇보다 금감원은 영업구역 외 '비조합원'과 관련한 상호금융의 집단대출에 강한 문제의식을 느끼고 있다.

집단대출에 대한 무리한 영업행위가 가계부채 증가세를 견인하고, 나아가 차주의 상환 부담도 가중시킨다는 판단이다.

실제로 지난해말 국내 가계대출 증가세를 견인한 것은 상호금융의 무분별한 집단대출이었다.

다만, 금감원은 올해도 서민금융과 지역 경제가 어려운 만큼 중저신용자 대출, 지역 여신에 대해선 일부 여력을 줄 계획이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방 부동산 침체를 고려해 지방은행의 가계부채 증가율을 조금 더 탄력적으로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가계대출 관리 기준을 평균적으로 3.8%라는 경상성장률 범위보다 조금 더 높게 잡기로 결정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