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불안요인 완화…밸류에이션 정상화 지속[주간증시전망]

등록 2025.02.16 12:00:00수정 2025.02.16 12:32: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증권가, 코스피 예상 범위 2500~2640선 제시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1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2539.05)보다 9.34포인트(0.37%) 오른 2548.39에,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749.59)보다 4.41포인트(0.59%) 하락한 745.18에 거래를 종료했다. 2025.02.12. bluesoda@newsis.com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1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2539.05)보다 9.34포인트(0.37%) 오른 2548.39에,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749.59)보다 4.41포인트(0.59%) 하락한 745.18에 거래를 종료했다. 2025.02.1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경택 기자 = 이번주 우리 증시는 미국 물가 우려, 국내 정치 불안 이슈 등이 점차 해소되면서 밸류에이션이 정상화되는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무역 상대국에 대한 상호 관세 조치를 공식화하면서 관련 이슈에 따른 변동성이 나타날 수 있다는 조언이 나온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 코스피는 전주(2521.92) 대비 69.13포인트(2.74%) 상승한 2591.05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주 초반 약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친 이후 나흘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특히 지난 14일에는 장중 2600선을 터치하기도 했다. 지수가 2600선을 회복한 것은 지난해 10월 30일(2613.47) 이후 약 넉달 만이다

지난주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기관이 1조3229억원을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1996억원, 1조4126억원을 순매도했다.

이번주 시장은 미국 물가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는 가운데 국내 대통령 탄핵심판 절차가 막바지에 가까워지면서 불안심리가 진정되는 한 주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코스피 예상밴드는 2500~2640포인트로 제시됐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을 웃돌았으나 시장 충격은 제한적이었다"며 "이는 캘리포니아 산불과, 조류독감으로 인한 호텔 숙박비, 계란 가격 상승 등 일시적인 요인들로 인해 예상보다 높은 물가가 타나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관세 영향 등 물가 불안심리는 이미 미국 통화정책 컨센서스에 연내 1회 인하로 선반영된 상태다. 이에 물가에 대한 불안 심리는 이번주 공개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르 확인하면서 완만한 경로로 안정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 연구원은 또 "국내 대통령 탄핵심판 절차가 막바지(18일 9차 변론 예정)에 가까워지며 정치 리스크가 완화되고 있다"며 "정치 불안과 원화 안정은 외국인 수급 개선으로 이어진다. 연기금의 순매수가 코스피의 견고한 흐름을 지지하는 가운데 외국인 순매수가 가세할 경우 지수의 반등 지속 및 탄력이 강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0일(현지시간)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가운데 관련 리스크도 점차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의 상호 관세 세부 내용 발표에 따른 단기 주가 변동성이 예상되나, 최근 시장은 트럼프의 관세 관련 변동성을 매수 기회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며 "주가 하락을 매수의 기회로 삼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경민 연구원도 "트럼프는 이번주부터 반도체, 의약품, 자동차 등 매주 개별관세 논의를 예고했다"며 "시장은 예고된 관세 우려에 대한 선반영과 학습 효과로 협상 가능성을 인지한 뒤 본 궤도로 되돌아가는 패턴을 반복 중으로 협상 기대가 존재하는한 금융시장은 단기매물소화 이후 상승 궤도 복귀가 가능하다고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주요 경제지표 발표 및 이벤트 일정

▲17일 = 일본 4분기 GDP

▲18일 = 미국 2월 뉴욕 연은 제조업지수

▲19일 = 미국 1월 주택착공건수·2월 NAHB 주택시장지수·1월 주택건축허가건수, 일본 12월 핵심기계수주

▲20일 = 미국 1월 FOMC 회의록·2월 필라델피아 연은 경기전망지수, 중국 2월 5년물 대출우대금리

▲21일 = 한국 2월 1~20일 수출, 미국 2월 S&P글로벌 제조업 PMI·미국 2월 S&P글로벌 서비스업 PMI, 유럽 2월 S&P글로벌 제조업 PMI, 일본 2월 지분은행 제조업 PMI·1월 전국 소비자물가지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