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후순위채 철회에 금융당국 검사까지…롯데손해보험, 매각 언제쯤

등록 2025.02.07 08: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수요예측 부진에 후순위채 발행 철회

두달 만에 당국검사…부담 요소 늘어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권안나 기자 = 롯데손해보험이 추진하던 자본건전성 개선 작업에 제동이 걸리면서 매각 시점이 다소 늦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여기에 금융 당국의 수시 검사라는 부담 요소가 더해져 당분간 매각 협상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는다.

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롯데손보는 이달 진행하려고 했던 10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 발행 계획을 철회하기로 했다.

롯데손보 측은 이에 대해 "금리 상황, 급격한 경제와 대외 여건 변화 및 새로운 제도 도입 등으로 투자자 보호를 위해 발행 시점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롯데손보의 이번 결정은 기관투자자 수요 예측의 부진한 성적 때문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롯데손보는 수요예측에서 5.5~5.9%의 높은 희망 금리를 제시했지만, 당초 발행 예정액인 1000억원에 못미치는 720억원의 매수 주문에 그쳤다.

롯데손보가 후순위채 발행을 계획한 것은 자본 확충을 통해 지급여력(K-ICS)비율을 높이기 위해서였다. 기업이 자본성증권을 발행하면 부채비율을 낮추고 자본을 확충할 수 있다.

롯데손보의 K-ICS비율은 2023년 말 213.2%에서 지난해 9월 159.8%로, 금융당국 권고치인 150%를 겨우 웃돌며 국내 손해보험사 가운데 최하위 수준으로 떨어졌다.

지난 5일부터 시작된 금융감독원(금감원)의 수시검사로 롯데손보의 자본건전성 관리 작업은 더욱 어려워지게 됐다. 이번 검사 작업은 한달가량 진행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연말 정기검사 이후 두달 만에 들어온 이번 검사를 두고 이례적이라는 평가를 내놓는다. 롯데손보가 금융당국이 권고한 무·저해지 보험 관련 해지율 산출 모형을 적용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지면서 압박수위를 높이는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지난해 금융당국은 보험사들이 무·저해지 보험 상품에 높은 해지율을 적용하고 있다며 이를 보정한 원칙모형을 제시했다. 해당 모형을 적용할 경우 보험사 입장에서는 미래에 지급할 보험금이 늘어나 계약서비스마진(CSM)이 감소되는 결과를 낳는다. 이는 매각 시 몸값 책정에서도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당국이 제시한 무·저해지 보험 원칙모형은 특정 회사에 편중된 형태다 보니 어떤 모형을 적용해도 대부분의 보험사의 건전성에 악영향을 줄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롯데손보 관계자는 "실적이 좋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급하게 매각할 이유가 없다"며 "다른 보험사 매물이 없기 때문에 시간이 갈수록 가치는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