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항만 하역 근로자 재해예방 위해 시설 설치 지원
국비 19억·항만공사 12억 투입
67곳 안전장비·시설 설치 지원

스마트 에어백. (자료=해양수산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홍세희 기자 = 해양수산부는 2025년 항만하역장 근로자 재해예방 시설 지원사업 대상으로 67개 사업장을 선정해 추락사고 방지 장치, AI 기반 사고 방지 장치, 응급구조 설비 등 안전 장비와 시설 설치를 지원한다고 16일 밝혔다.
이 지원사업은 국가가 사업비의 50%를 부담하고 민간이 나머지 50%를 부담하며, 항만 공사가 있는 주요 항만(부산·울산·여수광양·인천)은 항만공사가 국비의 25%를 부담한다. 올해 사업에는 국비 19억원과 항만공사 12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올해 지원사업에는 74개 업체가 안전시설 구축을 위해 지원서를 제출했다. 항만 안전 전문가와 학계, 근로자 대표 등으로 구성된 사업평가단이 항만에서 자주 발생하는 사고 방지를 위한 시설, 사고 예방효과 등을 평가해 67개 업체를 지원대상으로 선정했다.
대표적인 안전 장비 및 시설로는 스마트 에어백, 응급구조함, AI 기반 CCTV 등이 있다. 스마트 에어백은 작업자가 추락 시 빠르게 팽창해 인체 주요 부위를 보호하고 자동으로 전화나 문자로 사고를 통보해, 고소작업 시 추락사고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한다.
응급구조함은 크레인에 달아 구조 인력을 선박에 빠르게 진입시킬 수 있어, 선박 내에서 사고 발생 시 골든타임 내에 신속한 응급조치를 가능케 한다.
중장비들을 사용해 컨테이너와 같은 대형 화물을 선박에 선적하는 항만하역 환경에서, AI 기반 CCTV는 항만하역장 육상구역 내 운용 중인 중장비 주변의 사람을 인식해 운전자에게 주의를 줌으로써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인명사고를 예방한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항만은 24시간 운영되고 노동강도가 높은 작업공간으로 항상 안전사고 위험에 놓여있다"며 "항만 근로자들이 안전한 작업환경에서 안심하고 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