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인공지능의 범람이 인간 지배하지 않도록 해야"

등록 2023.03.22 10:50:07수정 2023.03.22 11:04:5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디지털기술 독재로 이어지기 쉬워

'스마트한 세상에서 똑독해지기'

책 펴낸 獨심리학자 WSJ 인터뷰

[서울=뉴시스]독일 막스 플랑크 인간행동 연구소 석좌 연구원인 게르트 기게렌저 박사.(출처=막스 플랑크 인간행동 연구소 홈페이지) 2023.3.22.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독일 막스 플랑크 인간행동 연구소 석좌 연구원인 게르트 기게렌저 박사.(출처=막스 플랑크 인간행동 연구소 홈페이지) 2023.3.22.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강영진 기자 = 챗GPT 등 인공지능과 각종 컴퓨터 프로그램이 인간의 삶에 깊이 스며들면서 볼거리와 들어야 할 음악을 골라주고 질문에 답변을 하는 세상이 됐다.

이런 인공지능들은 사람들이 알지 못하는 새 세계관과 행동을 변화시킨다. 심리학자 겸 행동과학자인 독일 포츠담대 위기 해석 하딩 센터 소장 게르트 기게렌저 박사는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인간 의사 결정 문제를 수십 년 동안 연구해왔다.

연구 결과를 담은 “스마트한 세상에서 똑똑해 지기(How to Stay Smart in a Smart World)”라는 책을 펴낸 기게렌저 박사가 “모든 것의 미래 저널(Journal for The Future of Everything)” 팟캐스트와 가진 인터뷰 내용을 요약한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1일(현지시간) 전재한 내용이다.

알고리즘이라는 말을 쓰지 않는 곳이 없는 세상이다. 알고리즘이 무슨 의미인가.

광범위한 용어다. 따라서 사용할 때마다 의미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체스나 바둑 게임처럼 안정되고 명확한 상황이라면 심층 신경망과 같은 복잡한 알고리즘이 분명히 인간보다 나을 수 있다. 그러나 코로나 바이러스의 변이 전망 등 변동성이 큰 사안에 대해선 복잡한 알고리즘에 의존할 수 없다. 중요한 한  두 가지 단서를 식별해내고 나머지는 무시하는 인간의 정신력이 훨씬 우수하다. 명확히 정의되지 않은 상황이라면 복합 알고리즘이 잘 작동하지 않는다.

컴퓨터 발전이 수십 년 동안 지속됐는데도 컴퓨터는 여전히 복잡한 방정식을 풀어내는 계산기에 불과할 뿐인가.

달라질 수 없다. 아주 많은 계층이 중첩돼 있는 심층 신경망도 결국은 계산기일 뿐이다. 영상 기술 덕분에 할 수 있는 일이 많아지긴 했다. 그림을 그리고 문장을 지어낸다. 그러나 문장을 사람과 같은 방식으로 이해하진 못한다.

알고리즘이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방식을 이해하면 도움이 될까.

모든 것이 공개되는 것이 엄청나게 중요하며 인간이 누려야 할 권리다. 모든 것이 공개돼 있다면 그걸 고칠 수도 있고 나아가 저임 노동자들 여럿을 동원해 일을 해내는 수준밖에 되지 않는 알고리즘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생각하려고 할 것이다.

인간의 판단이 필요한 상황이 어떤 것인 지를 잘 알고 인간의 판단이 더 낫다는 것을 믿어야 한다. 나아가 기술 기업들이 판매하는 블랙박스 알고리즘이 우리의 삶을 좌우하도록 내버려 두는 것도 피해야 한다. 인간의 사회적, 정치적 행동을 알고리즘이 지배하면 정부에 대한 통제권을 기술 기업들에 넘겨주게 된다.

디지털 기술이 쉽게 독재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 이유는.

실제로 당면한 문제다. 디지털 기술이 정부와 기술 기업들의 감시를 쉽게 만든다. 개인정보 보호 정책 문구를 읽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잘 모를 뿐이다. 읽기가 힘들게 써 놓기 때문이기도 하다. 너무 길고 복잡하다. 디지털 기술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아야 한다.

현명한 대처 방법은.

공짜로 커피를 주는 카페가 있다고 가정하자. 공짜라는 이유로 모든 사람들이 그곳에 가면 다른 카페가 망하고 우리는 선택할 곳이 없어진다. 공짜 커피를 마시며 친구들과 수다를 떨 수 있을 뿐이다. 카페 테이블마다 마이크가 설치돼 있고 벽에는 동영상 카메라가 당신이 하는 말, 행동, 만나는 사람을 모두 수집해 분석한다. 그걸 통해 커피 점원들이 당신에게 개인화된 제품을 사도록 권유하게 된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이 하는 일이 바로 이런 일들이다. 당신은 카페의 손님이 아니라 제품일 뿐이다. 돈을 내고 원하는 커피를 사 마심으로써 우리가 제품이 아닌 고객이 될 수 있는 카페를 되찾아야 한다.

개인화 광고가 이미 인터넷에 깊이 고착돼 있다. 그걸 없애려면 중대한 대응책이 필요할 것이다. 현실적으로 볼 때 앞으로 10년 동안 기술, 인공지능, 감시 문제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일반적으로 말해 사람들이 자신의 정보와 판단을 기술 기업에 넘겨주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할 필요가 있다. 우리가 돈을 지불하기 때문에 고객으로서 지배력을 갖는 것이다. 편리한 것에 익숙해져 자기도 모른 채 감시 당하는 일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 큰 문제다.

편리함을 버리고 개인정보 보호 문구를 읽고 알고리즘이 내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직접 살펴보기가 쉽지 않다.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생각하지 않는 것이 가장 편리한 것이다. 사람들이 인터넷 플랫폼으로부터 반복적으로 자신의 “선호” 정보를 받는 “간헐 강화(intermittent reinforcement)”가 의존하게 만든다. 모두가 이 점을 잘 인식하고 언제든 원할 때 통제권을 되찾을 수 있어야 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