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당국은 문제 없다지만…제2금융권 연체율 어쩌나

등록 2023.05.28 07:00:00수정 2023.05.28 07:52:0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2금융권 연체율 가파르게 증가

대출 부실 취약한 '약한 고리'…"연체채권 매각방안 고민"

[서울=뉴시스]저축은행, 상호금융, 여신전문금융회사 등 연체율 추이. (자료=금감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저축은행, 상호금융, 여신전문금융회사 등 연체율 추이. (자료=금감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김형섭 기자 =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등 제2금융권의 연체율이 최근 심상치 않다.

금융당국은 금융권의 연체율 증가와 관련해 위험 수준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지만 연체율 증가 속도가 빨라 우려가 불식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3월말 기준 업권별 연체율은 은행 0.33%, 저축은행 5.07%, 상호금융 2.42%, 카드사 1.53%, 캐피탈사 1.79% 등이다.

지난해 12월 말과 비교해 은행 0.08%포인트, 저축은행 1.66%포인트, 상호금융 0.90%포인트, 카드사 0.33%포인트, 캐피탈사 0.54%포인트씩 올라 금융권 전반에서 연체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은행의 경우 연체율의 절대값 자체가 작은 편인데다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2월말(0.36%)과 비교해도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오는 9월말부터 코로나19 상환유예 여신의 상환이 개시되면 은행권의 연체율이 크게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지만 금융당국은 실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현재 적용중인 금융권 상환유예 여신은 3월말 기준 6조6000억원으로 이 가운데 은행권의 상환유예 여신은 80%에 해당하는 5조3000억원 가량이다. 여신 규모 자체가 크지 않아 전액 연체가 발생한다고 해도 은행권 연체율은 0.57%에 그칠 전망이다.

문제는 은행에 비해 건전성이 취약한 제2금융권의 연체율이다. 증가 속도가 빠르고 연체율 자체도 은행에 비해 훨씬 높다.

금융권 전반의 연체율 상승은 지난해 급격한 금리인상과 경기 둔화, 부동산시장 침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결과로 분석되고 있다. 여기에 코로나19 관련 금융지원으로 대출이 불어나면서 연체율이 자연스럽게 사상 최저치까지 떨어졌다가 대출 위축에 따라 과거 수준으로 회귀하는 기저효과도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제2금융권의 대출 연체율은 이같은 효과들이 작용하기 전인 코로나19 이전 시기와 비교해서도 높은 편이다.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12월말과 비교하면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1.34%포인트, 상호금융은 0.71%포인트 높으며 카드사와 캐피탈사도 각각 0.10%포인트, 0.11%포인트 높다.

특히 연체율 상승폭이 가파른 저축은행과 상호금융은 코로나19 시기를 거슬러서 각각 2016년과 2014년 수준에 근접하고 있다.

제2금융권의 연체율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저축은행의 경우 부동산 경기하락의 영향으로 기업대출 연체율(5.07%)이 지난해 말보다 2.24%포인트나 증가했다. 다른 업권보다 저신용자 대출을 많이 취급하는 저축은행 특성상 가계대출 연체율(5.59%)도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상승해 전년말 대비0.85%포인트 늘었다.

상호금융도 기업대출 연체율이 3.69%를 기록하며 전년말 대비 상승폭(1.46%포인트)이 컸다. 부동산 경기 하락 영향으로 다세대·연립주택(8.3%)과 상가(4.4%) 등 비(非)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상승했다.

캐피탈사는 가계대출과 기업대출 연체율이 전년말 대비 각각 0.55%포인트, 1.01%포인트 올랐으며 카드사는 현금서비스 등 카드대출 연체율이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0.56%포인트)했다.

당분간은 연체율 하락을 기대하기도 쉽지 않다. 고금리와 부동산 시장 침체, 경기둔화라는 연체율 증가 요소들의 빠른 개선 가능성이 보이지 않아서다. 금융당국도 "당분간은 연체율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특히 제2금융권의 건전성을 위협하는 최대 요인으로 꼽히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의 경우 부동산 시장 침체가 해소되기 전까지는 계속해서 연체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제2금융권의 부동산 PF 익스포져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저축은행 10조5000억원, 상호금융 4조7631억원, 카드사 2조734억원, 캐피탈사 24조8632억원 등이다.

다만 금융당국은 최근 금융권이 연체채권 매각·상각 등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고 있고 손실흡수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로서는 금융시스템의 건전성·안전성을 위협할 정도의 심각한 상황은 아니다"라며 부실 우려에 선을 긋고 있다.

반면 제2금융권은 상대적으로 은행에 비해 대출 부실에 취약해 국내 금융시장의 '약한 고리'로 꼽히고 있고 위기는 항상 약한 고리부터 파고든다는 점에서 제2금융권의 연체율 관리에 금융당국이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도 연체 채권을 시장에 유연하게 매각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는 등 제2금융권의 연체율 관리를 신경쓰는 모습이다.

이준수 금감원 부원장은 지난 25일 브리핑에서  "저축은행과 여전사들이 연체채권을 캠코에 팔아야 하는데 가격 협상에 이견이 있어 매각을 미루는 등 연체율이 증가하는 요인이 있다"며 "이런 이슈에 대한 해결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2020년부터 코로나 영향으로 은행·저축은행 등에서 발생하는 개인의 연체채권을 캠코에 의무적으로 매각하도록 하고 있다. 공공기관에 채권을 매각함으로써 시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잉추심을 방지하고 차주의 재기를 지원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이같은 규제 때문에 저축은행들이 점차 늘어나는 연체채권을 캠코의 매각으로 모두 털어내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이 부원장은 "캠코도 연체채권 매입 가격이 시장 가격과 너무 차이가 나면 안된다고 판단해 가격을 조정하려고 노력 중"이라며 "캠코에 매각하는 것이 정부의 방침인 만큼 유연하게 민간 시장에 매각하는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