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자동차·의약품 면제 가능성"

등록 2025.02.14 09:55:27수정 2025.02.14 10:18: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상호관세 도입에 대한 대통령 각서에 서명한 후 발언하고 있다. 2025.02.14.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상호관세 도입에 대한 대통령 각서에 서명한 후 발언하고 있다. 2025.02.14.



[서울=뉴시스]유희석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상호 관세(Fair and Reciprocal Plan)' 부과 각서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오는 4월 1일부터 자국 제품에 대한 각국의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을 고려해 국가별 맞춤형 관세를 적용할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동맹국과 적대국으로부터 오랫동안 불공정한 대우를 받아왔다"며 "각국의 폐쇄적이고 비상호주의적인 무역 관행이 미국의 무역적자를 심화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브라질, 인도, 유럽연합(EU) 등을 사례로 들며, 이들 국가가 미국산 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반면, 미국은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를 적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자동차 부문에서 EU가 모든 수입차에 10% 관세를 부과하는 반면, 미국은 2.5%만 적용하고 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그러나 이번 조치에서 일부 산업은 면제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마이크 존슨 미 하원의장은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자동차, 의약품 등 4개 품목이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고 밝혔다.

자동차 산업은 미국 내 주요 완성차 제조업체들이 글로벌 공급망을 유지해야 하며, 과도한 관세 부과 시 오히려 미국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의약품은 공급망 안정성과 국민 건강 문제를 고려해 예외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조치를 두고 주요 교역국들과 협의를 시작했다. 인도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최소 12개 부문에 대한 관세 양보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EU 역시 미국과 협상을 통해 상호관세 문제를 조율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한국무역협회 미주본부에 따르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의 대미 수출 환경이 급변할 가능성이 있다.

이번 조처로 미국과 주요 교역국 간의 무역 갈등을 다시 심화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한국 경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무역업계 관계자는 "한국의 자동차 및 의약품 산업이 면제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지만, 세부 정책이 확정되기 전까지 상황을 면밀히 주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