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차·어르신 위한 서울 '무장애숲길' 올해 6.84㎞ 추가 조성
남산하늘숲길 등 18개소 신규 조성 및 재정비
연말까지 총 76㎞ 완성…이용자 편의 극대화
![[서울=뉴시스]개운산 무장애숲길. 2025.03.13 (사진 제공=서울시)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3/12/NISI20250312_0001789932_web.jpg?rnd=20250312181329)
[서울=뉴시스]개운산 무장애숲길. 2025.03.13 (사진 제공=서울시)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고가혜 기자 = 서울 곳곳에 완만한 경사로 데크가 깔려 장애인, 노약자, 유모차 동반 가족도 편안하게 자연을 즐길 수 있는 '무장애숲길'이 확대된다.
서울시는 올해 남산하늘숲길·수락산(동막골) 무장애숲길 등 11개 자치구, 총 14개소에 6.84㎞의 '무장애숲길'을 신규 조성 및 연장하고 4곳은 재정비에 들어간다고 13일 밝혔다.
'무장애숲길'은 경사도 8.3% 이내 완만한 데크 산책로를 갖춘 숲길로, 시는 내달 수락산(동막골) 무장애숲길 조성을 시작으로 오는 11월까지 조성을 완료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노원구 수락산(동막골) 등 6개소에 신규 조성 ▲송파구 오금공원 등 8개소 연장 ▲도봉구 쌍문공원 등 5개소는 무장애숲길 설계에 들어가고, ▲동대문구 배봉산 등 4개소에서는 재정비가 이뤄진다. 시는 또 휴게시설과 안내 표지판 등 편의시설을 확충해 이용 만족도도 한층 높일 예정이라고 전했다.
지난 2011년 성북구 북한산, 양천구 신정산을 시작으로 조성되기 시작한 무장애숲길은 현재 서울 시내 총 37개소, 69.32㎞ 규모로 조성돼 있다. 시는 이번 신규 조성을 통해 오는 연말이면 서울에 총 76.16㎞의 무장애숲길이 조성돼 운영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지난 10여 년간 무장애숲길을 조성하며 쌓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마련한 '무장애숲길 조성 매뉴얼'을 토대로 산림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이용자 편의와 안전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숲길을 조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아차·휠체어 등 이동에 어려움이 없도록 경사로를 조정하고 현장 여건에 맞춰 회전반경을 고려, 교행 가능하도록 노폭을 설정하고 있으며 주차장·화장실 등 편의시설도 적극 도입 중이다.
또 숲길 노선 설정 시 어린이와 부모가 함께 산책하며 충분히 신체활동을 할 수 있도록 기존의 유아숲체험장과 연계하고, 숲길을 거니는 어르신을 위해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데크 쉼터도 조성한다고 설명했다.
시는 단순히 무장애숲길 조성 및 편의시설 확충에 그치지 않고 훼손된 산림을 복원하고 자연을 보전하는 데에도 중점을 두고 진행할 방침이다. 기존 산책로를 최대한 활용해 숲길을 조성하고 산림과 지형의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공 시 기계 시공을 최소화한다고 밝혔다.
수목 보호 홀을 설치해 훼손을 줄이고, 복원이 필요한 구간은 자연식생으로 회복할 수 있게끔 돕는다. 수목을 활용한 비오톱정원(후글컬쳐)을 조성, 무장애숲길이 생태계 일부로 순환되도록 유도하고 있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특히 이용객이 숲 내부로 깊숙이 출입할 수 없도록 샛길을 차단해 숲길 주변 식생 훼손지 및 나지를 복원, 숲 생태계 훼손 및 파편화를 줄이고 있다고 밝혔다.
시는 무장애숲길이 도심에서도 누구나 불편 없이 자연을 즐길 수 있도록 숲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시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초고령 사회로 접어든 가운데 무장애숲길이 단순 산책로를 넘어 신체 활동과 사회적 교류를 확대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은 "무장애숲길 확대로 도심에서도 누구나 불편 없이 자연을 즐길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숲 접근성도 대폭 향상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도시와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생태도시 서울로 발전할 수 있도록 무장애숲길을 착실히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