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월세·식비·등록금' 3중고…대학가 '시름'

등록 2025.02.08 06:00:00수정 2025.02.08 06:24: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전국 4년제 대학 54.2%가 올해 등록금 인상

"알바 하나 더 구했어요…"부모님께 죄송"

'공공성' 필요한 고등교육, 재정지원 늘려야

[서울=뉴시스] 전신 기자 = 교육부의 대학 등록금 동결 호소와 학생들의 반발에도 인상을 강행하는 사립대가 늘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20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에 등록금 인상 철회를 촉구하는 대자보가 붙어 있다. 2025.01.20. photo1006@newsis.com

[서울=뉴시스] 전신 기자 = 교육부의 대학 등록금 동결 호소와 학생들의 반발에도 인상을 강행하는 사립대가 늘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20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에 등록금 인상 철회를 촉구하는 대자보가 붙어 있다. 2025.01.20.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조성하 기자 = 서울 소재 대학생 윤모(24)씨는 최근 집 근처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나 더 구했다. 새 학기를 앞두고 등록금 인상 소식이 들려오며 어깨가 더 무거워진 탓이다.

성적장학금과 부모님의 지원으로 등록금을 충당해 온 윤씨는 "곧 부모님이 정년퇴직을 하시는데 (등록금) 인상이라는 말 자체가 주는 부담감이 있다"며 "장학금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 대비해 평일에는 교내 카페에서, 주말에는 집 앞 카페에서 알바를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8일 뉴시스 취재를 종합하면 전국 대학들이 십여 년 동안 이어오던 등록금 동결 기조를 깨고 줄줄이 인상 결정을 내리며 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전국 4년제 대학 190개교(사립 151개·국공립 39개) 가운데 올해 등록금을 인상한 학교는 103곳으로 전체의 54.2%에 달했다.

이 중 등록금을 5.00~5.49% 수준에서 인상한 대학은 47곳(45.6%)으로 가장 많았다. 한 학기 등록금 평균값을 400만원으로 보면 1년에 40~44만원가량 부담이 늘어난 셈이다.

일반적으로 인문사회계열보다 등록금이 비싼 이공계열이나 보건의료계열, 예체능계열의 경우 부담은 더 커진다.

2000년대 후반부터 동결 기조를 유지해 온 대학들은 재정 결손을 이유로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인데, 대학생들은 이런 학교의 입장을 이해한다면서도 막막한 한숨을 내쉬었다.

인문계열 대학생 유모(26)씨는 "학교 입장도 이해가 가지만, 안 그래도 비싼 사립학교 등록금이 더 오르니 부담스럽다"며 "지난해만 해도 주 2회 아르바이트를 하면 한 달을 여차저차 넘길 수 있었지만 근무 횟수를 3일로 늘렸다"고 말했다.

지방에서 올라온 유씨의 한 달 월세와 생활비는 80만원. 이미 빠듯한 주거비와 식비에 더해 인상된 등록금까지 기존 수입으로 모두 부담하긴 버겁다는 것이 유씨의 설명이다.

사범대학에 다니는 최모(24)씨도 "국가 장학금을 받으면 반만 내니 걱정은 덜 하긴 하는데, 가뜩이나 물가도 오르고 경제 상황이 좋지 않아 부모님께 죄송스러울 뿐"이라고 했다.

이공계열 재학 중인 서모(25)씨도 "아버지 회사에서 나오던 지원금이 곧 끊길 수 있다는 말을 들어서 걱정이 된다"며 "최대한 빠르게 졸업해야 할 것만 같은 기분"이라고 토로했다.

대학생들은 허리띠를 더욱 졸라 매고 있는 상황이다.

유씨는 "예전 같으면 큰 고민 없이 샀을 것을 확실히 더 깊게 고민하고 구매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최씨도 "전에 비해 웹툰이나 소설에 돈을 잘 안 쓰고 있다"며 "화장품 소비도 줄었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대학 당국과 정부가 고등 교육에 대한 재정 지원을 늘려 교육 기회의 공공성을 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허수경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 조직사무국장은 "고등교육이라는 것은 공공성이 담보가 돼야 하는 영역인데 한국 정부의 재정 지원 규모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이라며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 제정을 통한 안정적인 재정 확보 필요성을 강조했다.

사립대학이 수익 구조를 다변화해 학생들의 부담을 덜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허 국장은 "한국은 (전체 대학 중) 사립대학 비중이 80% 가까이 되는 나라"라며 "대부분이 등록금 수입에 의존하는 수익자 부담 원칙을 따르는데, 수익 구조 개선을 위한 실질적으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