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공 백인 폭력" 엉뚱한 답변…머스크 AI 챗봇, 이상 반응 논란
머스크 "인종차별" 주장과 맞물린 AI 반응…X 측 "조사 중"
![[서울=뉴시스] 일론 머스크의 X(옛 트위터)가 만든 인공지능(AI) 챗봇 그록이 최근 아무런 관련이 없는 질문에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내 백인에 대한 폭력 정보를 제공하는 이상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14일(현지 시간) NBC 뉴스가 보도했다. 사진은 일론 머스크(맨 오른쪽)가 이끄는 인공지능(AI) 기업 xAI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새 AI 챗봇 모델 '그록(Grok)3' 공개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는 모습. (사진=xAI 홈페이지 캡처)](https://img1.newsis.com/2025/02/18/NISI20250218_0001772652_web.jpg?rnd=20250218132753)
[서울=뉴시스] 일론 머스크의 X(옛 트위터)가 만든 인공지능(AI) 챗봇 그록이 최근 아무런 관련이 없는 질문에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내 백인에 대한 폭력 정보를 제공하는 이상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14일(현지 시간) NBC 뉴스가 보도했다. 사진은 일론 머스크(맨 오른쪽)가 이끄는 인공지능(AI) 기업 xAI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새 AI 챗봇 모델 '그록(Grok)3' 공개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는 모습. (사진=xAI 홈페이지 캡처)
[서울=뉴시스]박미선 기자 = 일론 머스크의 X(옛 트위터)가 만든 인공지능(AI) 챗봇 그록이 최근 아무런 관련이 없는 질문에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내 백인 폭력 사건 정보를 제공하는 이상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14일(현지 시간) NBC 뉴스가 보도했다.
NBC에 따르면 13일(현지 시간) X의 한 사용자는 남아공과 관련 없는 산책로 사진에 대해 "이곳이 어디냐"라고 질문했다.
그러자 그록은 "남아프리카공화국 백인 폭력 사건과 관련이 없을 가능성이 높은 풍경 사진의 위치"라면서도 관련 사건에 대한 설명을 이어갔다. 또 "머스크 같은 인물들이 현재 이 문제를 강조한다"라고도 했다.
보도에 따르면 그록의 X 계정 활동을 검토한 결과, 남아공에 대한 언급이 포함된 유사 응답은 20건 이상 확인됐다. 다수 응답에서 남아공 관련 정보가 본문과 무관하게 삽입됐다.
X 측은 해당 상황을 조사 중이라고 밝혔고 구체적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런 그록의 반응은 최근 미국 내에서 '남아공 백인 폭력'에 대한 극단적 주장이 다시 부각되는 시점과 맞물린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 주장을 토대로 난민 수용 조치를 내리고, 머스크가 이 문제에 대한 발언 수위를 높이는 등 정치적 움직임과도 연결된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남아공 정부가 소수집단을 우대하고 아프리카너(Africaner·16세기 이후 네덜란드 등 유럽에서 남아공으로 이주해 정착한 백인 집단) 자산을 겨냥한 토지수용법 등을 시행해 인종차별적 반(反) 백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남아공 내 '인종차별 피해자'인 아프리카너에 난민 지위를 부여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해 13일(현지 시간) 남아공 백인 59명을 미국에 수용했다.
머스크는 남아공 태생으로, 지난 2월 남아공 정치인이 "백인을 죽여라"라고 외치는 영상을 공유하며 이를 비판했다. 또 최근에는 자신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가 남아공의 흑인 경제권 강화법 때문에 운영 허가를 받지 못하자 이 법이 "인종차별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록은 머스크의 주장을 옹호하는 답변을 주로 내놓고 있지만, 지난 3월에는 이를 정면 반박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머스크가 '안티 워크' 챗봇으로 내세운 그록이 머스크 주장과 엇갈리는 답변을 내놓은 것이다.
안티 워크는 인종차별, 성차별, 성소수자 인권, 환경 문제 등에 민감한 것과 반대되는 것으로, 그록이 사회적 문제에 보수적 시각을 반영할 것이란 뜻이다.
그록은 한 사용자의 질문에 "머스크의 '백인 집단 학살' 주장을 뒷받침하는 신뢰할 만한 출처는 없다. 법원은 근거 없는 주장으로 기각했다"며 "백인에 대한 과한 폭력은 집단 학살이 아니라 범죄"라고 답했다.
NBC는 "14일 늦게 그록은 자신의 응답이 이상하다는 점을 인지한 듯한 반응을 보였고, 적어도 한 응답에서 남아공을 불필요하게 언급하지 않도록 업데이트했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