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美 모기지 금리 7% 돌파…무디스 신용등급 강등 여파

등록 2025.05.20 14:27:35수정 2025.05.20 15:22:2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국채 수익률 급등에 주택시장 '비상'…"건설업체도 가격 인하 나서"

【노스앤도버=AP/뉴시스】 19일(현지 시간) NBC는 모기지 뉴스 데일리를 인용해 이날 기준 30년 고정 모기지 평균 금리가 7.04%로 뛰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 4월 11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사진은 미국 매사추세츠주 도시에 매물로 나온 집. 2025. 05. 20.

【노스앤도버=AP/뉴시스】 19일(현지 시간) NBC는 모기지 뉴스 데일리를 인용해 이날 기준 30년 고정 모기지 평균 금리가 7.04%로 뛰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 4월 11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사진은 미국 매사추세츠주 도시에 매물로 나온 집. 2025. 05. 20.


[서울=뉴시스]박미선 기자 = 미국 모기지(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신용평가사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 발표 후 급등했다.

19일(현지 시간) NBC는 모기지 뉴스 데일리를 인용해 이날 기준 30년 고정 모기지 평균 금리가 7.04%로 뛰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 4월 11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모기지 금리는 일반적으로 미국 국채 수익률과 함께 움직이는 경향이 있는데, 무디스가 미국 부채 증가에 따른 재정악화 문제를 이유로 신용등급을 강등하자 국채 매도세가 거세졌고 수익률은 급등했다.

리얼터닷컴 선임 이코노미스트 제이크 크리멜은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상승함에 따라,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도 자연스럽게 상승했다"며 "이는 잠재적 주택 구매자에게 매우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번 모기지 급등 소식은 봄철 주택 거래가 활발한 성수기에 나온 만큼, 주택 시장에 타격을 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모기지은행협회(MBA)의 주간 지수에 따르면 5월 초 금리가 6.9%선에서 횡보하던 시기, 주택 구매 수요는 다소 회복됐지만 금리가 7%를 넘는 순간 수요가 눈에 띄게 둔화됐다.

한편 미국의 주택 매매는 지난해 30년 만에 최저치로 내려앉았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최근 주택 시장 신뢰도 조사에서 건설업체들은 높은 금리, 정책 불확실성, 건축 자재 비용 등을 이유로 암울한 전망을 내놨다.

이에 건설업체들은 신규 주택 가격을 인하하고 있다. 미국주택건설업협회(NAHB)에 따르면 이달 34%의 건설업체가 가격을 내렸는데, 이는 전월 29%에서 증가한 수치다. 이들의 평균 가격 인하 폭은 5%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