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하버드 이어 컬럼비아?…트럼프 행정부 "민권법 위반" 공격

등록 2025.05.23 16:50:57수정 2025.05.23 17:30: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보건복지부 "민권법 위반해 유대인 이유로 차별"

국토안보부, 하버드에 외국인 유학생 등록 취소

[뉴욕=AP/뉴시스] 미국 명문 하버드대를 맹공격 중인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엔 컬럼비아대가 민권법을 위반했다며 조준했다. 사진은 뉴욕의 컬럼비아대 캠퍼스. (사진=뉴시스DB) 2025.05.23.

[뉴욕=AP/뉴시스] 미국 명문 하버드대를 맹공격 중인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엔 컬럼비아대가 민권법을 위반했다며 조준했다. 사진은 뉴욕의 컬럼비아대 캠퍼스. (사진=뉴시스DB) 2025.05.23.


[서울=뉴시스] 이혜원 기자 = 미국 명문 하버드대를 맹공격 중인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엔 컬럼비아대가 연방 민권법을 위반했다며 조준했다.

미국 보건복지부는 22일(현지 시간)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컬럼비아대가 연방 민권법을 위반했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보건부는 "광범위한 조사 결과 학교가 유대인 학생들에게 가해진 적대적 환경에 대해 고의적인 무관심을 보임으로써 민권법 제6조를 위반했다고 결론 내렸다"고 설명했다.

연방 민권법 제6조는 '연방 자금을 받는 모든 프로그램이나 활동은 인종, 피부색, 또는 출신 국가를 이유로 차별해선 안 된다'고 명시한다.

보건부는 이 조항을 근거로 컬럼비아대가 이스라엘 또는 유대인 신분이나 혈통을 이유로 차별했다고 주장했다.

교실 내 나치 문양 및 혐오 그림 낙서 행위 방조, 캠퍼스 내 시위 제한 미이행, 반유대주의 신고 처리 체계 미비 등을 이유로 들었다.

또 2023년 10월 7일 가자지구 전쟁 발발 이후 19개월 동안 "유대인 학생들을 보호하는 데 지속적으로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앤서니 아르체발 보건부 민권국장은 "컬럼비아대가 우리와 협력해 유대인 학생들을 진정으로 보호하는 의미 있는 변화를 반영한 합의에 이르길 장려한다"고 밝혔다.

[케임브리지=AP/뉴시스]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하버드대 캠퍼스. (사진=뉴시스) 2025.05.23.

[케임브리지=AP/뉴시스]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하버드대 캠퍼스. (사진=뉴시스) 2025.05.23.


이번 발표는 미국 국토안보부가 이날 하버드대에 유학생 및 교환 방문자 프로그램(SEVP) 인증을 취소하도록 지시한 가운데 나왔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 등 주요 명문대의 자유주의적 성향과 반유대주의 부실 대응 등을 문제 삼으며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프로그램 종료, 학생 및 교직원에 대한 감사 등을 요구했다.

하버드는 법적 권한을 넘어선 것이라며 거부했고, 트럼프 행정부가 연방 자금 중단에 나서자 소송을 제기했다. 이후 보복성 보조금 삭감과 추가 소송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26억5000만 달러(약 3조6600억원) 상당 연방 보조금이 삭감됐다.

컬럼비아대는 트럼프 행정부가 4억 달러(약 5480억원) 규모 보조금 및 계약을 취소하겠다고 압박하자, 지원금 복원을 전제로 일련의 변경 사항을 수용했다.

한편 크리스티 놈 국토안보부 장관은 이날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컬럼비아 등 다른 대학에도 유사 조치를 예상하느냐는 질문에 "절대적으로 그렇다"며 "이는 모든 다른 대학에 보내는 경고가 돼야 한다"고 가능성을 열어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