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AI컴퓨팅센터 입찰 또 무산…아무도 나서지 않았다(종합)
공모 요건 변경 없이 재공고…지원한 민간 컨소시엄 없어
과기정통부, 기재부·산업부 등과 공모 요건 변경 논의
업계 "수익성 낮고 리스크 큰 구조…가격 경쟁력 낮아" 비판
![[그래픽=뉴시스] 재판매 및 DB금지.](https://img1.newsis.com/2025/02/20/NISI20250220_0001774714_web.jpg?rnd=20250220145710)
[그래픽=뉴시스] 재판매 및 DB금지.
1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이달 2일부터 시작된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 재공고가 이날 오후 5시로 종료됐다.
재공고 결과 지원한 민간 컨소시엄이 없어 유찰됐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부처와 향후 사업 추진 방향을 논의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1엑사플롭스(EF) 이상 성능의 AI 연산 능력을 갖춘 초대형 AI컴퓨팅센터를 민·관 공동 출자로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구축하는 프로젝트다. 총 사업비는 2조원 규모로, 정책금융 대출 등을 통해 재원을 조달할 계획이었다. SPC 지분은 공공 51%, 민간 49%로 설정했다.
지난 1차 공고에서는 아무도 입찰하지 않았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재공고에도 조건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진행했다.
반복된 무응찰은 이미 예견됐다. 수익 모델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은 상황이 개선되지 않았다는 것.
민간 사업자들은 이번 사업에 대해 "수익성은 낮고 리스크는 큰 구조"라고 비판했다.
사업을 운영할 SPC에서 정부가 51%의 지분을 보유하게 되면서, 경영 결정권은 공공이 주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민간은 의사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어렵고 경영 자율성도 낮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이 사업은 대학, 연구소, 스타트업 등 소규모 수요처에 '저렴한 요금'으로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하지만 민간 입장에서는 고비용 장비를 도입해 놓고 원가 이하의 요금으로 운영해야 하므로 수익을 내기 어려운 구조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 사업은 연구나 정책 목적 수요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상업적 활용이 제한되고, 초기 투자 대비 수익을 회수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특히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높지 않다 보니 외부 고객 확보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