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우연, 우주 범선에 쓰일 '태양 돛' 개발…전개 시험 성공
태양 돛, 태양 광자 반사시켜 무연료 우주 공간 항행 가능
향수 심우주 탐사 및 우주쓰레기 문제 해결에 활용 기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지난해 6월부터 진행한 '태양광 회절 추진 우주 항해 기술 연구'를 통해 태양 돛 전개장치 시제품을 개발하고 전개 시연에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사진은 태양 돛을 완전히 전개한 모습. (사진=항우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진이 태양풍을 동력으로 항행하는 우주 범선에 적용할 수 있는 태양 돛을 개발했다.
항우연은 지난해 6월부터 진행한 '태양광 회절 추진 우주 항해 기술 연구'를 통해 태양 돛 전개장치 시제품을 개발하고 전개 시연에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태양 돛은 돛단배가 바람을 이용해 항해하는 것처럼 태양이 방출하는 광자를 돛에 반사시키는 원리로 추진력을 얻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우주선이 별도의 연료 없이 장기간 우주 공간을 항행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항우연이 개발한 태양 돛은 가로·세로 각 10m 크기로 지난해 4월 NASA(미 항공우주국)가 발사한 가로·세로 각 9m 크기의 우주범선 ACS3보다 크고, 두께 12㎛(마이크로미터)의 알루미늄 증착 PET 필름 재질을 적용해 매우 가볍다.
태양 돛을 수납했다가 우주 공간에서 펼치는 역할을 하는 전개장치는 국내 줄자 업체의 기술이 접목돼 가로·세로 10m의 돛을 가로·세로 20㎝ 내로 접을 수 있고, 높이 31.4㎝, 무게 10㎏로 제작돼 12U 큐브 위성에 탑재할 수 있다.
항우연은 태양 돛 기술을 심우주 탐사뿐만 아니라 지구 저궤도에 존재하는 우주쓰레기(임무종료 위성 파편 등) 문제 해결 기술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상철 항우연 원장은 "국내 기술로 개발한 태양 돛 전개장치가 앞으로 우리나라의 심우주 탐사 역량을 높이고, 다방면의 우주 활동에 적용될 수 있도록 창의적인 활용 분야를 연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