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경남도, 최근 급증 미분양 주택 해소 방안 논의

등록 2025.04.16 23:06:2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도청서 주택시장 안정화 관계기관 협의회 개최

각종 지표하락에도 전·월세 상승, 실수요 꾸준

[창원=뉴시스]16일 경남도청 회의실에서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한 관계기관 협의회가 열리고 있다.(사진=경남도 제공) 2025.04.16. photo@newsis.com

[창원=뉴시스]16일 경남도청 회의실에서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한 관계기관 협의회가 열리고 있다.(사진=경남도 제공) 2025.04.16. [email protected]

[창원=뉴시스]홍정명 기자 = 경남도는 16일 도청 회의실에서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한 관계기관 협의회를 열고, 도내 주택시장 전망 공유와 함께 최근 급증하는 미분양 주택 해소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대한주택건설협회 울산경남도회, 대한건축사협회 경남건축사회,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경남도회, 한국토지주택공사(LH) 경남지역본부, 경남개발공사와 창원시 등 8개 시·군 주택 관련 부서장이 참석했다.

2분기 도내 주택매매는 공급이 수요보다 높은 상황이 유지되고 있으나, 전·월세는 수요와 공급이 비슷하게 유지되는 등 실수요는 꾸준한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미분양은 한정된 수요 대비 그간 미뤄 왔던 청약·준공 물량이 2~3분기에 공급될 것으로 예상돼 당분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내 시·군에서는 미분양 해소를 위해 인허가 물량을 조절하고 있다.

김해시 경우, 일부 단지를 임대분양으로 전환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참석자들은 지방에서 미분양에 대처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중앙정부에 지방 미분양해소를 위한 세제 혜택 등을 건의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대한주택건설협회 경남도회에서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매입하고 있는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 매입물량을 3000호에서 5000호로 확대하고, 장기 미분양 주택을 우선 매입하는 등 매입 기준을 유연화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경남도는 미분양 해소를 위해 지난 15일 대구광역시에서 부산·울산과 함께 대책 회의를 가졌다.

회의에 참석한 시·도는 수도권과 달리 지방의 미분양 상황이 심각하다는 인식을 같이하고 세제 감면, 총부채원리금 상환비율(DSR) 완화와 같은 실질적 대책이 시행되도록 대정부 건의 등 공동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경남도 신종우 도시주택국장은 "도내 주택시장이 침체되어 있으나 실수요는 꾸준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면서 "오늘 협의회 의견을 영남권 시·도가 함께 중앙부처에 건의하는 등 미분양 해소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