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경기교육청 AI 푸드스캐너 사업, 2년간 10억 들여도 잔반량 증가

등록 2025.06.13 19:47:0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김현석 의원 "예산 낭비·행정 비효율 초래"

[수원=뉴시스] 김현석 의원. (사진=경기도의회 제공) 2025.06.1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수원=뉴시스] 김현석 의원. (사진=경기도의회 제공) 2025.06.13.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수원=뉴시스] 박종대 기자 = 경기도교육청이 음식물 쓰레기 감축을 위해 추진한 AI 푸드스캐너 사업이 저조한 활용도로 예산 낭비 지적을 받았다.

13일 경기도의회에서 열린 회의에서 김현석(국민의힘·과천시) 의원은 "2023년부터 신규 추진된 AI 푸드스캐너 사업에 2년간 약 10억원을 투입했지만 장비들이 사실상 급식실 애물단지로 전락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현재 푸드스캐너가 설치된 49개교의 평균 학생 이용률은 39%에 그쳤다. 성남외고는 2195만원을 투입해 4대를 설치했지만, 학생 이용실적이 0건으로 사실상 방치되고 있다. 김포 가현초는 4189만원을 들여 8대를 설치했으나 이용률이 45%에 머물렀다.

더 심각한 문제는 사업 효과다. 2024년 설치된 40개교의 월 평균 인당 잔반량이 전년 대비 7% 증가해 사업 목표와 정반대 결과가 나타났다.

사업 추진 과정의 부실함도 도마에 올랐다.

2023년 시범사업 예산 5억원의 불용률이 66%였음에도 2024년 본예산을 25억원으로 5배 늘렸다.

하지만 수요 조사를 하반기에 실시해 실제 설치는 40개교에 그쳤고, 전체 집행률은 35.6%에 머물렀다.

22개교는 공간 부족을 이유로 퇴식 후에만 장비를 설치해 식사 전후 비교라는 사업의 본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상황이다.

김 의원은 "업계에 등록된 유일한 업체라는 이유로 신규 사업임에도 특정 업체가 단독으로 사업을 수행하게 됐다"며 "향후 유사 사업 추진 시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과 제도적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현장의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며 "2025년도 예산 편성은 현재 돼 있지 않다. 설치된 학교의 후속 조치를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