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공간 지도 우즈벡 수출…국토부 R&D 성과 해외 첫 적용
아시아개발은행과 협력해 향후 중앙아시아 등 확산 기대

[서울=뉴시스] 홍세희 기자 = 국토교통부는 연구개발(R&D) 사업 성과로 개발된 '탄소공간 지도'가 아시아개발은행(ADB)의 시범사업을 통해 우즈베키스탄에 구축된다고 16일 밝혔다.
ADB는 도시기후 행동계획을 통한 기후 스마트 도시개발 지원 사업의 수행기관으로 탄소공간 지도 시스템을 개발한 '선도소프트'를 선정했다.
탄소공간 지도는 행정구역이나 격자 단위로 건물·교통 부문의 탄소 배출 활동과 산림의 탄소 흡수성능을 시각화해 제공하는 데이터 기반 지도 시스템으로, 한국국토정보공사(LX)가 운영하고 있다.
전국 약 720만여 동(棟)의 건물별 에너지 사용량과 도로 구간별 교통량, 임상도를 기반으로 탄소배출과 흡수정보를 1㎞, 500m, 100m 격자 단위로 정밀하게 매년 경신하고 있다.
ADB는 우즈베키스탄 정부와 협력해 도시 탄소배출 분석, 도시기후 행동계획 수립 등 통합적 기후 대응 기술을 도입 중이며, 이 과정에서 한국의 탄소공간 지도를 주요 시범기술로 채택했다.
이번 시범사업은 앞으로 8개월간 우즈베키스탄 지자흐(Jizzakh)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향후 우즈베키스탄 전역과 중앙아시아 인근 국가로의 확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최병길 도시활력지원과장은 "우리나라의 탄소공간 지도 구축 기술과 탄소중립 도시계획 기술이 국제기구를 통해 해외에 진출하는 첫 사례로서 큰 의미가 있다"며 "향후 관련 분야의 글로벌 협력이 더욱 확대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