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들역세권에 최고 42층 973세대 공동주택 들어선다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 개최결과
장충동 일대 높이제한 완화, 용적률 체계 개편
![[서울=뉴시스]동작구 본동 441번지 조감도.](https://img1.newsis.com/2025/07/23/NISI20250723_0001901140_web.jpg?rnd=20250723192036)
[서울=뉴시스]동작구 본동 441번지 조감도.
서울시는 제13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개최해 노들역세권(동작구 본동 441번지 일대) 장기전세주택사업 관련 본동 지구단위계획 결정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24일 밝혔다.
대상지는 9호선 노들역 인근 노량진로 남측에 위치하고 있다. 2008년부터 부분 철거 시작 후 7년 이상 장기 유휴부지로 남아 있어 안전 문제 해결과 주거 환경 개선이 시급했다.
장기전세주택 288세대를 포함해 총 973세대 공공주택이 조성되면 여의도 지역과도 인접해 있어 역세권 중심의 직주근접 도시 형성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노량진로 인접 부분에는 근린생활시설을 배치해 가로활성화를 유도하고, 수영장, 작은도서관, 키즈카페 등 대상지 내 다양한 커뮤니티 지원시설 설치를 통해 지역 주민의 편의는 물론, 역세권 중심의 활력 있는 공간 조성 계획을 마련했다.
구릉지형 대상지에 과도한 옹벽이 설치되지 않도록 유도하고, 각 단차 구간별 계단 및 엘리베이터 설치, 노량진로와 연결하는 공공보행통로 등을 설치해 해당 지역 주민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보행 접근성을 강한다.
시는 장충동 일대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 결정 변경안도 수정가결했다.
대상지는 지하철 환승역인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동대입구역과 인접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며, 주변에 DDP와 장충단공원 등 다양한 문화·공원시설이 입지한 지역이다.
이번 지구단위계획 변경은 2019년 최초 결정 이후 추진한 고도지구의 높이 완화, 용적률 체계 개편 등 서울시의 정책 변화를 반영해 개발 여건 조성하고 자유로운 민간개발을 유도해 노후 저층 주거지의 정주 환경을 개선하고자 추진됐다.
우선 대상지 내 건축물의 높이제한을 기존 30m에서 50m로 상향하고, 공공성 확보 및 시 정책과 연계한 높이 완화 인센티브 항목을 신설해 구역 내 지정된 최고높이의 완화 적용이 가능하도록 했다.
또 지구단위계획 용적률 체계 개편을 반영해 용도지역별 허용용적률을 기준용적률의 1.1배까지 상향했으며, 일반상업지역의 경우 기준용적률 또한 500%에서 600%로 상향 조정해 개발 여건을 개선했다.
아울러 최대개발규모를 전면 폐지하고, 문화재 앙각 적용을 받는 광희문 주변 지역에 건폐율 완화(60%→최대 80%) 사항을 신설하는 등 적극적인 완화를 통해 자유로운 개발이 가능하도록 계획 수립했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장충동 일대 지구단위계획 변경을 통해 개발 여건이 개선돼 자유로운 민간 개발이 보다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를 통해 노후한 주거지에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고 지역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lje@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