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유지숙 명창, 서도민요·산타령 음반 발매…사재 털어 3년간 제작

등록 2025.06.19 10:49:2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긴아리, 자진아리, 산염불, 배치기 등

유지숙 명창의 공연 장면. (사진=국립국악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유지숙 명창의 공연 장면. (사진=국립국악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최희정 기자 = 황해도·평안도 지방의 민요나 잡가를 일컫는 '서도소리'의 유지숙 명창이 서도민요와 서도 산타령 음반을 냈다.

'서도민요' 음반에서는 긴아리, 자진아리, 산염불, 배치기 등 총 9곡이 담겼다. 유지숙 명창의 스승인 고(故)오복녀(1913~2001) 명창의 가르침이 담긴 여러 기록들을 살펴 그간 잘 알려지지 않은 노랫말들을 발굴해 현전하는 가사와 함께 수록했다.

본절(本節)의 가창을 유지숙 명창이 이끌고, 유 명창의 오랜 제자인 오현승, 김지원, 장효선, 이나라, 김유리가 스승의 소리를 받아 서로 호흡하며 서도민요의 흥겨운 흥취를 돋운다.

배치기에서는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원완철 지도단원의 신명나는 장구와 징, 꽹과리 연주와 함께 서울시 무형유산 삼현육각 보유자 최경만 명인의 깊고도 구성진 태평소 가락이 어우러진다.

이번 음반은 현전하는 서도소리의 충실한 기록을 담아냄과 동시에 유지숙 명창의 완숙한 성음으로 현재의 서도소리 전승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서도소리는 남도소리, 경기민요와 다른 음계를 사용하고 음을 떨면서 내는 가창 기법이 독특해, 서도소리를 내려면 '대동강 물을 먹어보고 해야 한다'는 말이 있을 만큼 부르기 어려운 소리로 꼽힌다.


유지숙 명창의 공연 장면. (사진=국립국악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유지숙 명창의 공연 장면. (사진=국립국악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유지숙 명창은 사재를 털어 3년 여 간의 제작 기간을 거쳐 이번 음반을 완성했다.

유 명창은 "이번 음반을 통해 현재 전승되는 이 시대 서도소리의 전통을 접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올곧은 서도소리의 전승과 보급을 위해 남은 소리 인생의 발걸음을 더욱 넓고 힘차게 내딛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 명창은 국가무형유산 서도소리 전승교육사로,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