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한양대-서울아산병원, 식도 스텐트 이탈 막는 코팅 기술 개발

등록 2025.03.25 14:40:2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퍼즐 구조 표면에 생체접착제 결합

쥐·돼지 실험서 식도 기능 유지

재료과학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게재

이준석 한양대 교수(왼쪽)와 박정훈 서울아산병원 교수. (사진=한양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준석 한양대 교수(왼쪽)와 박정훈 서울아산병원 교수. (사진=한양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윤신영 인턴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식도에 삽입된 스텐트가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는 현상을 막는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

한양대는 화학과 이준석 교수와 서울아산병원 박정훈, 김도훈 교수로 구성된 연구팀이 식도 협착 치료에 사용되는 스텐트의 이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나노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식도 스텐트는 식도가 막히거나 좁아진 부분을 넓혀 음식을 삼키기 쉽게 만들어주는 튜브 장치다. 최근 고령화로 인해 식도 협착 발병률이 증가하면서, 비수술적 방법인 스텐트가 핵심 치료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스텐트는 환부에서 쉽게 이탈하는 단점이 있다. 이탈을 막기 위해 클립이나 봉합 등이 시도되고 있지만, 식도 조직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어 실제 적용에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스텐트 표면에 3차원 나노 네트워크 구조를 코팅한 뒤, 내부에 생체접착제를 채워 넣는 방식으로 이탈 문제를 해결했다.

이들은 스텐트 표면을 미세한 퍼즐처럼 만들고, 접착제를 그 틈에 얽히게 해 접착 면적을 늘리는 '나노퍼즐 접착 기술(HiRINC)'을 고안했다.
3차원 나노구조 기반 생체접착제 함침 나노커넥터(HiRINC)가 코팅된 스텐트의 체내 이탈방지 효과 모식도. (사진=한양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3차원 나노구조 기반 생체접착제 함침 나노커넥터(HiRINC)가 코팅된 스텐트의 체내 이탈방지 효과 모식도. (사진=한양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쥐 식도에 기존 스텐트와 HiRINC 코팅 스텐트를 각각 삽입한 결과, 기존 스텐트는 이탈됐지만 HiRINC 코팅 스텐트는 환부에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했다.

이어진 돼지 식도 실험에서도 스텐트가 4주 동안 초기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식도 공간을 확보했다.

연구를 이끈 이준석 교수는 "금속 표면의 난접착성 문제를 구조적으로 극복한 점에서 기술적 의미가 크다"며 "스텐트 재삽입률을 줄이고, 환자의 고통과 의료 비용을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기정통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재료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에 지난 12일 게재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