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고성 역사의 새로운 발견”, 고성 내산리 고분군 발굴현장 공개 설명회

등록 2025.06.18 19:06: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고성 최초로 신석기시대 유구 발견, 빗살무늬토기 1000여 점 출토

[고성(경남)=뉴시스] 신정철 기자= 경남 고성군 동해면에 위치한 소가야의 최전성기를 대표하는 국가사적 ‘고성 내산리 고분군’의 현장공개 설명회가 지난 17일 발굴조사 현장(동해면 내산리 548-1)에서 개최됐다. 사진은 고성 최초의 신석기시대 유구에서 발견된 빗살무늬 토기조각을 이상근 군수가 살펴보고 있는 모습.(사진=고성군 제공).2025.06.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고성(경남)=뉴시스] 신정철 기자= 경남 고성군 동해면에 위치한 소가야의 최전성기를 대표하는 국가사적 ‘고성 내산리 고분군’의 현장공개 설명회가 지난 17일 발굴조사 현장(동해면 내산리 548-1)에서 개최됐다. 사진은 고성 최초의 신석기시대 유구에서 발견된 빗살무늬 토기조각을 이상근 군수가 살펴보고 있는 모습.(사진=고성군 제공).2025.06.18.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고성=뉴시스] 신정철 기자 = 경남 고성군 동해면에 위치한 소가야의 최전성기를 대표하는 국가사적 ‘고성 내산리 고분군’의 현장공개 설명회가 개최됐다.

18일 고성군은 '고성 내산리 고분군' 보호구역의 조사현황과 그 중요성을 군민들에게 알리는 행사를 지난 17일 발굴조사 현장(동해면 내산리 548-1)에서 개최했다.

군은 내산리 고분군 종합정비를 위해 2023년 보호구역 확대지정 이후 지속적으로 발굴조사를 수행해 오고 있다.

'내산리 고분군'은 5~6세기 소가야 해상교류를 담당한 집단의 고분군이다. 조사구역은 국가사적 보호구역으로 2023년부터 ‘고성 내산리 고분군 종합정비계획’을 통해 시굴 및 발굴조사를 시작해 2025년 발굴조사까지 이어지게 됐다.

'내산리 고분군'은 본래 삼국시대 소가야 고분 유적을 중심으로, 이번 발굴조사 구역은 고분군의 경관을 보호하고 향후 탐방시설 등을 설치하기 위한 목적으로 종합정비계획에 따라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구간이며 해안선 일원으로 고분 중심부와 200m 정도 떨어진 구간이다.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신석기 수혈유구, 삼국시대 석실분, 근현대 간척을 위한 목책 등의 유구가 발견됐다. 삼국시대 석실분 2기는 각각 고성 내산리 고분군에서 기존에 발견된 형식의 석실분과 같은 형태이며 출토 유물로 유공광구소호, 개배, 철제화살촉 등이 확인됐다.

그중 주목할만한 점은 고성 최초로 신석기시대 유구가 발견되었으며, 이곳을 중심으로 빗살무늬 토기조각이 1000여점 가까이 확인됐다.
 
[고성(경남)=뉴시스] 신정철 기자= 경남 고성군 동해면에 위치한 소가야의 최전성기를 대표하는 국가사적 ‘고성 내산리 고분군’의 현장공개 설명회가 지난 17일 발굴조사 현장(동해면 내산리 548-1)에서 개최됐다. 사진은 고성 최초의 신석기시대 유구에서 발견된 빗살무늬 토기조각 모습.(사진=고성군 제공).2025.06.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고성(경남)=뉴시스] 신정철 기자= 경남 고성군 동해면에 위치한 소가야의 최전성기를 대표하는 국가사적 ‘고성 내산리 고분군’의 현장공개 설명회가 지난 17일 발굴조사 현장(동해면 내산리 548-1)에서 개최됐다. 사진은 고성 최초의 신석기시대 유구에서 발견된 빗살무늬 토기조각 모습.(사진=고성군 제공).2025.06.18.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발견된 신석기시대 토기는 압날단사선문, 태선침선문의 기본 문양으로 횡주어골문, 삼각집선문 등이 소수 확인됐다. 이러한 토기들의 특징으로 기원전 3500~기원전 3000년경부터 고성 내산리 지역에 사람이 거주하며 생활권을 형성해온 것으로 추정된다.

고성 내산리 일원은 과거 청동기~초기철기~삼국시대~통일신라~고려~조선~근현대까지 역사적 자원이 고루 분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다만 고성지역 전체를 통틀어 신석기시대와 관련되는 유적이 발견된 사례는 이번이 최초이다.

'내산리 고분군'은 현재 2022년 국가유산청으로부터 인가받은 종합정비계획을 토대로 각종 정비사업이 연차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그 일환인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고성군의 역사문화적인 스펙트럼이 보다 넓어지는 계기가 됐다.

고성군은 ‘고성 내산리 고분군 종합정비계획’의 추진 기반자료로 활용하고자 이번 조사 후 봉토의 복원정비, 각종 탐방편의시설을 설치(탐방로, 퍼걸러, 주차장 등)하는 등 본격적인 복원을 추진, 역사문화관광의 메카로서 고성 내산리 고분군을 정비할 방침이다.
 
향후 고성 내산리 고분군의 정비계획이 대부분 추진된 뒤로는 내산리 고분군 남쪽에 분포하고 있는 양촌리 고분군에 대한 성격의 규명 등 주변 유적으로 대상구역을 확대 하여 고성 내산리 지역에 대해 고성지역 역사의 탄생과 현재까지의 종합적인 고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상근 고성군수는 “이번 발굴조사를 계기로 국가사적 복원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나아가 군민과 방문객 모두가 만족하는 종합정비계획을 완성하여 '역사와 문화가 함께하는 고성' 건설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