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챗GPT 출시 2년 반 만에 구독매출 100억弗 돌파…韓 기여도 2위?

등록 2025.06.10 08:44:40수정 2025.06.10 09:32: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MS 라이선스 매출·대규모 일회성 계약 등 제외

2029년까지 1250억 달러 달성 목표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가 4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02.04.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가 4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02.0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윤정민 기자 = 오픈AI 연 반복 매출(ARR)이 인공지능(AI) 챗봇 '챗GPT' 출시 2년 반 만에 100억 달러(약 13조5500억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현지 시간) 오픈AI는 CNBC를 통해 해당 수치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라이선스 매출, 대규모 일회성 계약을 제외한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ARR은 구독 계약을 통해 매년 벌어들이는 수익을 뜻한다. 구독 서비스, 계약 기반 사업 모델에서 연 매출 규모를 예상하는 데 많이 사용되는 지표다. 연간 실제 발생 매출을 뜻하는 '연 매출'과는 다른 개념이다.

오픈AI는 ARR에 챗GPT 개인용과 비즈니스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매출 등이 포함됐다고 전했다.

오픈AI의 지난해 ARR은 55억 달러(약 7조4500억원)였는데도 약 50억 달러(약 6조7800억원)의 손실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CNBC는 오픈AI가 2029년까지 매출 1250억 달러(약 169조3800억원)를 달성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편 오픈AI ARR 성장에는 한국 시장에서의 성장도 주효했을 것으로 보인다. 오픈AI는 최근 한국 법인 설립 발표 소식을 전하며 한국이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많은 챗GPT 유료 구독자를 보유한 국가라고 밝혔다.

한국 챗GPT 주간 이용자 수(WAU)가 지난 1년간 4.5배 이상 늘었으며 오픈AI API 플랫폼을 활용하는 개발자 수 기준 전 세계 상위 10개국 중 하나이자 유료 비즈니스 사용자 수 기준 전 세계 상위 5개국에 포함돼 있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